본문 바로가기

불교

불국사의 미학

불국사의 미학

 

신라의 불교는 호국불교로 진흥왕 때부터 대형 사찰들이 건립된다. 불국사는 그 선상에서 지어진 사찰이다. 문무왕의 아들인 신문왕은 아버지를 기리며 감은사를 짓고 만파식적을 얻었다. 이후 문무왕의 증손인 경덕왕 때 불국사와 석굴암을 짓고, 석굴암의 방향이 문무왕릉을 향해 감은사와 같이 문무왕을 기리고자 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불국사는 이름 그대로 불국을 재현한 절이다. 현세의 부처인 석가모니와 과거의 부처님이자 극락세계의 영주인 아미타불, 법신인 비로자나불을 따로 모셨고, 중생을 구원하는 관음보살 역시 따로 모셨다. 네 개의 영역은 크기는 물론 마당의 높이가 다른 완전히 독립된 영역이다. 석가탑 앞에 다보여래를 상징하는 다보탑을 모셨으니 부처님만 네 분을 모신 절이다. 이 중 중심은 현세의 부처를 모신 대웅전 영역이다. 청운교, 백운교 계단을 올라 자하문을 지나면 여기부터는 불국이다. 계단을 교(橋)라 한 것은 부처의 나라로 들어가는 다리 역할을 한다 해서 그렇게 부른다. 또 범영루 우측의 수로에서는 물이 떨어지는데, 밑의 연못에 떨어졌을 것이며, 청운교 아치 밑에는 이 물이 흐르거나 고여 있었으니 다리 교를 쓰는 것이 맞다. 자하는 자색 안개로 수구에서 물이 떨어지며 자색 물안개가 피어났다 한다. 자하는 부처님의 몸에서 나오는 자줏빛 금색 안개를 말한다. 자하문 안쪽에 해와 달이 함께 그려졌는데 자하문 안의 불국이 해와 달 위의 하늘에 있다는 의미다.

백제 석공 아사달을 청해 석가탑 등을 건조하는데, 몇 해가 가도 집으로 돌아오지 않자 그의 아내 아사녀가 불국사로 찾아간다. 아녀자가 불사를 조성하는 곳에 들어가면 아니 된다 하여 무영지에서 기도하며 기다리라 한다. 탑이 완성되면 그 그림자가 무영지에 비치니 그때 아사달을 만날 것이라 했다. 그러나 끝내 그림자는 비추지 아니하고, 아사녀는 무영지에 몸을 던졌다. 해와 달 위에 떠 있는 불국이니 어찌 그림자가 있을 수 있겠나? 불국사의 경내가 불국임을 이야기하는 설화다. 그림자가 없다는 것은 분별이 없다는 것이다. 분별은 실체와 상관없이 개념으로 나누는 것을 의미한다.

▲ 최세일 한건축 대표

선과 악, 깨끗하고 더러운 것, 밝은 것과 어두운 것의 구별은 원래 하나인 세상을 인간이 나누는 것이다. 부처가 되면 이 분별이 없어지고 비로소 하나의 세상이 된다. 그림자가 없다는 이야기는 석가모니는 현세의 부처이기 때문에 분별하지 않고 분별이 없는 것을 상징적으로 그림자가 없는 것으로 표현한다. 아사녀는 결국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탑의 그림자가 생기길 기다린 것이다. 아름다운 전설이지만 자비의 부처님 전설에 희생된 아사녀의 이야기는 어쩌면 종교가 가진 한계를 보여 주는 서글픈 이야기다.

석가탑과 다보탑은 두 부처님의 모습을 재현했다. 다보여래는 동방보정세계의 교주다. 스스로 어느 곳이든 법화경을 설하는 곳에 나의 보탑이 솟아나와 그 설법을 증명하리라 했다. 석가모니 부처가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할 때 역시 보탑이 솟아 나왔다 하여 석가모니를 상징하는 석가탑과 다보여래를 상징하는 다보탑을 함께 조성한 것이다. 해체 복원이 원래의 상태대로 복원해야 하나 불국사나 석굴암 등은 그러지 못했다.

불국사의 석축을 보면 원형과 복원이 확연히 다른 것이 보인다. 원 석축은 크고 넓은 자연 석축 위에 그랭이질된 장대석을 얹어 자연과 인공의 조화를 보여 준다. 그랭이 공법으로 잘 맞춰진 석축은 지진을 버텨 낼 수 있는 힘이 됐다. 여러 전란에도 불국사의 석축 등이 버틸 수 있던 것도 이러한 우리만의 독특한 기술 때문이었다. 대웅전은 기하학적으로도 거의 완벽하다. 중심축에서 완전히 대칭이다. 이 완벽한 대칭은 다보탑과 석가탑의 형태에서 깨진다. 그 깨진 대칭은 양 끝의 범영루와 자경루에서 회복된다. 군더더기 하나 없이 간결한 석가탑의 연장선에 있는 범영루는 누각을 받치는 석조의 화려한 주초부터 건물까지 화려함을 자랑하고 화려한 다보탑의 연장선에 있는 자경루는 꾸밈없이 간결하다.

양쪽이 간결함과 화려함을 나누고 그 무게감을 맞추어 대칭 속의 비대칭, 비대칭합의 대칭을 완벽하게 구현한 미적·기하학적인 우리의 대표 문화유산이다.

2019-01-15 30면

[출처] 불국사의 미학|작성자 임기영불교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