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성이론. 거시물리학
올베르스의 역설/두산백과
도봉별곡
2022. 5. 21. 13:20
하인리히 올베르스[ Heinrich Wilhelm Matthäus Olbers ]두산백과
요약 올베르스의 역설을 주장한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물리학자.
출생-사망
1758.10.11 ~ 1840.3.2 |
독일의 브레멘(Bremen)에서 태어나 괴팅겐(Gottingen)에서 의학을 전공하면서 가우스(Carl Friedrich Gauss)의 스승인 케스트너(Abraham Gotthelf Kästner)와 함께 수학을 공부했다. 1780년 대학을 졸업한 이후 브레멘에서 의사로 개업을 했는데 그 이후에도 천문 관측에 시간을 많은 투자해 1802년 3월 28일 소행성 팔라스(Pallas)를 발견하여 명명하였고, 1807년 3월 29일에 소행성 베스타(Vesta)를 발견하였다. 또한 1815년 3월 6일 주기 혜성을 발견하였는데 이 혜성은 현재 그의 이름을 따 13P/Olbers라고 명명되었다.
1823년에 제기한 올베르스의 역설(Olbers' paradox)도 유명한데, 우주가 무한히 크고 천체의 공간적 분포가 일정하다면 모든 천체로부터 받는 빛에 의해 밤하늘도 낮처럼 밝아야 한다는 역설이다. 이 문제가 제기된 초기에는 제대로 된 답이 나오지 않았으나,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역설이 해명되게 되었다. 우주의 팽창으로 빛이 우리에게 도달할 수 있는 범위가 유한해지고, 또한 거리가 먼 은하일수록 적색편이(redshift) 현상이 일어나 가시광 영역의 빛들의 파장이 길어져 적외선 영역으로 들어가버리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