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메모

동사의 힘

도봉별곡 2022. 7. 22. 18:34

동사의 힘[정희모의 창의적 글쓰기]

케네스 코치의 시()에 문장에 관한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어느 날 길에 모인 명사들 / 형용사 하나가 지나간다. / 짙은 아름다움을 간직한 여인 / 명사는 충격과 감동으로 변화를 겪는다. /이튿날, 동사가 이를 몰아 문장을 창조한다." 문장 형성에 관한 흥미로운 통찰을 담고 있는 시다. 명사는 주로 사물이나 사람의 이름을 가리키는 말이다. 나무, , 사랑, 우정, 철수, 교사 모두 대상을 규정하고 이름 짓는 말이다. 먼 옛날 호모사피엔스가 사물에 처음 이름 붙일 때 아마 명사부터 시작했을 것이다. 사물에 이름이 붙으면 세상은 활기를 띠고 의미를 얻게 된다.

명사가 재료라면, 형용사는 재료를 꾸미는 장식품이다. ()에서 보듯 그것은 '짙은 아름다움을 간직한 여인'이다. 명사의 모양, 색깔을 자세하게 설명하거나 꾸며주기 때문이다. 영어와 달리 한국어는 형용사만으로 서술어 기능을 한다. 그렇지만 능동·피동, 진행형과 같은 움직임의 기능이 없어 쇼윈도의 여인처럼 우리는 그 상태를 먼발치에서 볼 수만 있을 뿐이다. 그래서 형용사는 우리 마음과 관계한다. '예쁘고 사랑스러운' 연인도 다투거나 마음먹기에 따라 쉽게 '밉고, 추악한' 사람이 된다.

'짙은 아름다운 여인'이 생명을 부여받기 위해서는 동사가 필요하다. 스탠리 피시는 고립된 단어에 연을 맺어 세상을 창조하는 힘을 가진 것은 동사라고 말한다. 명사는 세상을 명명하지만 고립되어 스스로 변화하지 못한다. 형용사는 때로 아름답고, 때로 추하지만 멀리서 상태를 설명할 뿐 홀로 움직이지 못한다. 동사는 이런 명사와 형용사를 엮어 새로운 세계를 꾸미고 창조한다. "짙고 아름다운 여인이 울고 있다거나 "그런 그 여인을 사랑한다" 혹은 "그 여인과 이별했다"라는 문장이 동사로 인해 구성되고 이야기가 만들어진다. 이야기가 기쁠지 슬플지는 동사가 엮어내는 자신의 모습과 요구되는 논항들에 달려있다.

동사에 관한 책을 쓴 어떤 이는 동사를 음식으로 치면 육수나 양념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나는 양념보다는 육수에 가깝다고 본다. 싱싱한 재료가 있어도 육수가 없다면 음식 맛을 낼 수가 없다. 잔치국수만 보더라도 아무리 좋은 면을 쓰고 적당한 고명을얹어도 육수가 제 역할을 못하면 맛을 내지 못한다. 육수는 음식을 음식으로 존재하게 하는 본바탕이다. 마지막으로 음식에 불을 때고 간을 맞추는 일은 필자의 몫이다.

정희모 연세대 교수·국문학

 

 

작은큰통의 의견, 형용사와 부사

초보자는 수식어가 많이 붙은 문장이라야 잘 쓴 글이라고 생각한다. 명사와 동사만으로 글을 쓰자니 허전하고 불안하다. 내 생각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을 것 같다. 아니, 내 생각이 너무 보잘 것 없어 보일까봐 그게 걱정이다. 그래서 수식어를 자꾸 넣게 된다. 양념을 듬뿍 치는 거다.

입말로는 안 되는 일이 글말로는 된다. 문장을 꾸미다니...... 내가 문장을 꾸밀 수 있다니. 문장을 매만져서 모양을 내고, 반짝이는 수식어와 지혜로운 말씀을 주렁주렁 매달고, 그렇게 멋지고 심오한 문장을 내 마음대로 만들어 낸다니. 가당치 않은 일이다. 글말을 배우기 전에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문장을 꾸미는 건, 입말에서는 잘 안 해. 짝사랑하는 여자한테 처음으로 말을 걸어보려 할 때나 되어야, 문장에 어떤 단어를 쓰는 게 좋을지 또 어떤 멋진 말로 단어를 꾸며야할지, 심각하게 고민하겠지. 보통, 말은 자동으로 나와. 문장에 어떤 단어를 쓰고 어떻게 수식해야할지는 생각하지 않아. 일부러 하려해도 잘 안 되고 말이야. 의미만 생각하면 바로 말로 나오고, 말을 들으면 바로 의미로 바뀌어서 저장되거든. 입말 속 문장은 (방금 말하거나 들은 문장 하나, 거기에 있는 단어와 글자들은) 순식간에 없어져버리거든. 그러니 꾸미고자시고 할 시간이 없지. 하지만 글말에서는 다르지. 문장이 잘 보이고 단어 하나하나가 잘 보이는 거라. 거기다 시간도 늘늘하고.

부사를 혐오하고 부사를 문제 삼는 사람은 마크 트웨인, 레이먼드 카버, 스티븐 킹, 엘모어 레오나드 등 소설가다. 내 생각에 소설가이기 때문에 부사에 민감하지 싶다. 실용문을 쓰는 사람이라면 그렇게 민감하지 않을 거다. (교과서를 봐도 알 수 있다. 문학이 문제지, 과학교과서에선 부사가 문제가 안 된다. 접속 부사 말고는 부사를 쓸 일도 별로 없다.) 실용문이라는 게 사실대로 쓰면 되는 거니까, 부사를 쓰든 안 쓰든 글이 사실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큰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소설은 다르다. 소설은 사실을 보면서 쓰는 게 아니라 상상으로 쓰는 것인데, 내가 주장하는 것은, 상상하는 과정에서 부사가 종종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사실처럼 상상을 하려면 명사와 동사를 이용해서 사건들을 만들어야 하는데, 그것은 귀찮고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편한 대로 형용사와 부사에 주로 의존해서 사건을 만들다보면 스토리가 엉성해지고 현실성이 없는 스토리가 되기 쉽다는 거다. 초보 소설가가 흔히 범하는 실수다.

대상이 명확하다면, 즉 내가 쓸 내용을 뚜렷하게 파악하고 있다면, 부사를 많이 쓸까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건 요리할 때와 비슷하다. 재료가 좋으면 양념이 필요 없어, 소금만 좀 치면 되거든.

대상을 보면서 글을 쓰는 거라면 마음이 이끄는 대로 이런저런 부사를 써봐도 된다. 원래는 명사와 동사를 써서 대상을 자세히 보여주는 게 정답이다. 독자가 내 글을 읽고 대상을 눈으로 보듯이 떠올릴 수 있게 표현하는 게 최상이다. 하지만 바쁠 때는 간략하게 표현해도 된다. 형용사와 부사를 이용해서 쓰는 거다. 이건 논설문처럼 주장하는 글에서 디테일은 줄이고 요점만 추려 쓰는 것과도 비슷하다. 주장만 하고 뒷받침은 대충 넘어가는 식이다. 즉 형용사와 부사로 느낌만 주장하고 디테일은 대충 넘어가는 식이다. 잘하면 시처럼 멋지게 표현할 수도 있다. 또 잘못 돼봐야 좀 엉성하게 표현하게 되는 정도다. 대상을 보면서 쓰는 거니까 사실에서 벗어날 걱정이 없고, 비현실적인 글, 거짓인 글로 타락할 염려가 없다.

한편, 소설처럼 상상해서 쓰는 글이라면 조심해야 한다. 눈으로 볼 수 있는 실체가 없으니까, 형용사와 부사에 빠지다보면 자칫하다가는 비현실적인 글이 돼버릴지 모른다. 이건 논설문에서, 이런저런 주장만하다보니 말도 안 되는 글이 돼버리는 것과 비슷하다.

형용사와 부사를 적게 쓰라는 것은 그게 명사와 동사에 비해서 덜 중요하기 때문이다. 중요한 걸 많이 쓰고 덜 중요한 것은 적게 쓰라는 말이다. 문장에서 명사와 동사는 --주어·목적어 술어는-- 꼭 있어야 하지만, 형용사와 부사는 관형어·부사어는-- 없어도 된다. 문장에서 주어·목적어·술어에는 중요한 내용이 들어가고 관형어 부사어에는 덜 중요한 내용이 들어간다. 거꾸로 이렇게 말할 수도 있다. 문장을 잘 쓰려면, 중요한 내용은 주어·목적어·술어 자리에 넣고, 덜 중요한내용은 관형어·부사어 자리에 넣는다고 말이다.

수식어에 중요한 내용이 들어 있는 경우에도 수식어를 북돋워 주어야 하고, 수식어가 문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에도 잘 살려주어야 한다. 우리말에는 의성어 의태어가 발달해있는데, 그것들은 문장을 생생하고 뚜렷하게 만들어준다. 그런 수식어는 삭제 대상이 아니고 잘 살려야할 대상이다.

2020.12.30. 서흥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