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옹혜근의 선사상에 대한 철학적 분석
이 논문은 고려 말에 살았던 나옹혜근(懶翁慧勤; 1320-1376)이라는 선승의 선사상을 철학적 입장에서 분석한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철 학이란 역사적이 아닌 이론적이라는 말로 대치할 수 있다. 필자가 말하 는 이론적이란,
첫째는 형이상학적 요소이고,
둘째는 인식론적 요소이고,
마지막으로 실천적 요소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세 요소를 도입하여 나옹의 선사상을 분석했다. 이 그러면 형이상학적 요소란 무엇인가? 그 것은 인성의 본질로서의 불성(佛性)을 상정하는 것이고, 다음으로 인식적 요소란 불성을 무매개적으로 인식하는 것이고 끝으로 실천적 요소는 당사자 본인의 주체성이다. 이러한 나옹의 철학적 요소는 당나라 시대에 활동하던 선승들과 본질적으로 입장을 같이 한다. 그러면서도 다른 점은 화두(話頭)를 방법적으로 활용하는 점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진여 연기론에 입각한 불성사상
Ⅲ. 왜곡된 지성을 극복하는 방법
Ⅳ. 선불교가 추구하는 세계
Ⅴ. 맺음말
[출처] 나옹혜근의 선사상에 대한 철학적 분석|작성자 임기영불교연구소
'간화선. 묵조선. 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중일 3국불교에서 선종과 천태종의 교섭사 연구 (0) | 2021.07.31 |
---|---|
조사선과 간화선의 바른 이해 (0) | 2021.07.31 |
스즈키禪 (0) | 2021.07.31 |
대혜종고의 공안선 비판과 간화선에 지(知)1)의 문제 / 박재현 (0) | 2021.07.31 |
대혜종고 : 열반송도 집착이다 (0) | 2021.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