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티베트불교

티베트 돈점논쟁과 선(禪)수행 담론

 

 

티베트 돈점논쟁과 선(禪)수행 담론

 

수행과 깨달음에 관한 선종과 인도불교 유가행중관파의 상이한 시선이 맞닥뜨린 티베트 논쟁은, 돈문(頓門)과 점문(漸門)의 충돌이라기보다는, 선(禪)수행에 관한 전통적 시선과 새로운 시선이 조우하여 끝내 소통하지 못한 선 수행 담론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 이 논쟁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돈(頓)이냐 점(漸)이냐의 문제보다는 양 진영의 상이한 선관(禪觀)이다. 돈·점의 문제는 선 수행을 이해하는 선종의 새로운 시선에 수반하여 발생한 문제인 것이다. 티베트 논쟁은 선관(禪觀)의 문제가 주(主)/본(本)이고, 돈점의 문제는 그에 수반된 종(從)/말(末)이라 보아야 적절할 것이다. 티베트 논쟁의 초점과 의미를 이렇게 파악하는 것은 선종 선사상의 정체성이 무엇인가를 묻는 것과 직결된다. 선종 선사상에 대한 학계나 교계의 이해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수 있는 강력한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티베트 논쟁을 두 가지 상이한 선관(禪觀)의 충돌로 읽고, 마하연이 제기하는 선종 선사상의 정체성을 ‘이해방식과 대비되는, 또한 집중이 아닌, 마음방식의 선관’으로 포착하는 것은, 선종 선사상의 핵심과 정체성이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단서로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BR> 선종의 마음방식 행법으로 보면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존재환각을 전제로 형성된 마음범주/계열/문법 ‘안에서’ 마음범주에 의한 왜곡과 오염을 수습하려는 모든 구도의 행법은, ‘차츰차츰/점차로/차례대로/단계적’이라 할 수 있는 개량적 개선이다(漸). 그것은 마음의 환각적 전제가 보존된 채 성취되는 향상이라는 점에서, 아무리 수준 높은 것일지라도 여전히 실재 왜곡과 오염의 범주 안에 놓여있다. 반면 그 마음범주의 지평/계열/체계/문법을 붙들지 않고 그것에 빠져들지 않는 마음국면은, ‘단박에/몰록/단번에/한꺼번에/갑자기’라 할 수 있는 ‘통째로 빠져나옴’이다(頓). 이 통째적 국면전환과 자리바꿈은 실재를 왜곡/오염하는 마음의 전제인 존재 환각 자체를 거세 내지 무효화시키는 조건이므로, 계열의 비연속적 국면이고, 범주이탈적 자리바꿈이며, 지평의 통째적 전의(轉依)로서, 돈오라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 - 티베트 논쟁을 점문(漸門)과 돈문(頓門)의 대립이라 부를 수 있는 근거는 여기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출처] 티베트 돈점논쟁과 선(禪)수행 담론|작성자 임기영불교연구소

'티베트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교(티베트) 명상법  (0) 2021.12.11
[인도 속 티베트2] 티베트 문화의 정수, '티베트 불교'  (0) 2021.11.22
티벳의 산  (0) 2021.08.10
티베트불교의 밀교수행-1  (0) 2021.07.16
티벳불교의 가르침  (0) 2021.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