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눌 선사상 형성에 미친 중국불교의 영향
지눌의 선사상은 성적등지문(惺寂等持門)·원돈신해문(圓頓信 解門)·경절문(徑截門)의 삼문(三門)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눌의 선사상 형성에 미친 중국불교의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지눌의 말년 저작이자 삼문(三門)의 내용을 모두 포괄하고 있는『 절요사기』를 주요한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그 리고『 절요사기』에 인용된 경전과 인물에 대한 분석과 아울러『 절 요사기』와 종밀의『 사자승습도』의 원문을 대조하였다. 이를 통하여 종밀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눌이 종밀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끝으로 지눌이 중국불교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긴 하지만 어디까 지나 고려불교가 처한 입장에서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수용의 성격은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혜능·이통현· 대혜의 사상은 포괄적으로 수용하고 있으며, 종밀·징관의 사상은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간화선. 묵조선. 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눌 선사상, 자성의 공적영지와 성기 (0) | 2021.04.19 |
---|---|
초의 의순의 선사상 (0) | 2021.04.19 |
간화선 묵조선 (0) | 2021.04.18 |
영가 선사 9 / 이 몸은 허망하여 자성이 없다. (0) | 2021.04.18 |
[중국불교 순례] ② 조주 스님 향훈 깃든 백림선사平常心의 도량엔 ‘無’자 화두 ‘성성’ (0) | 2021.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