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手印)
부처님의 內自證의 덕을 표시하기 위하여 열손가락으로 여러가지 모양을 만드는 표상이다. 그 종류는 대체로 비로자나불의 지권인 법계정인, 아미타불의 미타정인 그리고 석가여래의 근본5인, 합장인등이 있다. 1) 선정인(禪定印) : 선정(禪定)에 들어 있음을 알리는 표시다. 부처님은 결가부좌(結跏趺坐)하고 손을 무릎 위에 올려놓되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한다. 이 때 오른손이 왼손 위에 온다. 2) 여원인(與願印) : 중생(衆生)이 원하는 것을 들어준다는표시다. 이 때는 앉아 있을 수도 서 있을 수도 있다. 오른팔을 아래로 내리고 손바닥을 바깥으로 보이게 하여 땅을 가리킨다. 3) 시무외인(施無畏印) : 중생의 두려움을 없애주고 평안함을 준다는 표시다. 오른팔을 들어서 손바닥이 바깥으로 보이게 하여 위로 향한다. 이러한 수인의 변형으로 스리랑카에는 아시사무그라(慈悲印)이 있다. 4) 설법인(說法印) : 중생에게 법(法)을 설하고 있음을 알리는 표시다. 이 수인은 앉아 있거나 서 있거나 관계없이 적용된다. 오른팔 혹은 양팔을 들어 엄지와 검지를 붙여 동그라미를 만든다. 동그라미는 법의 바퀴를 의미한다. 5) 전법륜인(轉法輪印) : 문자 그대로 수레 바퀴를 돌리는 모습인데 법(法)을 설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다. 이 때 부처님은 앉아서 오른손으로는 설법인(說法印)을 맺고 왼손으로는 그것을 받친다. 간다라에서는 이러한 수인의 변형으로 오른손 손바닥이 가슴쪽으로 꺼어져 있다.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정각인(頂覺印)이라고도 하는데, 그 의미는 깨달음의 정점에 있다는 뜻이다. 6)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 부처님이 정각에 이르렀을 때 땅의 신(地神)에게 그것을 증명하라고 명하는 순간을 나타내는 모습이다. 이때 오른손은 무릎 위에 그대로 놓고 왼손으로는 땅을 가르킨다. 다른 해석에 의하면 마왕(魔王) 마라를 굴복시킨 승리의 순간을 나타낸 것이라고도 한다. 부처님이 이 수인을 맺을 때는 언제나 앉아 있는 모습이다. 이 때는 앞에서와는 달리 왼손을 무릎에 놓는다. 이제까지 본 다양한 자세와 관계없이 수인을 맺고 있지 않은 손(왼손)은 들어올려서 법의(法衣)의 끝을 잡거나 앉아 있을 경우에는 무릎 위에 놓기도 한다. 7) 공양인(供養印) : 부처님에게 공양을올리는 모습을 나타낸 표시이다. 두 손을 마주 잡아서 연꽃 봉오리처럼 만든다. 이 때는 앉아 있을 수도 서 있을 수도 있다. 이 표시는 보살이나 제자들 예배자들 협시자(脇侍者)들에게만 적용되는 찬탄 숭배를 나타내는 동작이다. 8) 지권인(智拳印) : 불교가 동쪽으로 퍼져 나가면서 몇 가지 다른 수인이 있어서 이를 통하여 존명(尊名)을 구별하도록 하였다. 지권인은 금강계 만다라의 주존인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 大日如來라고도 함)을 나타내는 손모양이다. 9) 아미타불의 구품인(九品印) : 정토교(淨土敎)에서는 아미타불이 아홉가지 수인을 짓는데 아미타 정토에 다시 태어나는 중생의 근기(根機, 수행한 정도)에 따라서 중생에게 설법하는 아미타불의 손모양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붓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법시대와 상법시대 말법시대 (0) | 2016.10.24 |
---|---|
육사외도(六師外道) (0) | 2016.10.20 |
인도인의 과장 표현 (0) | 2016.02.10 |
불교와 양자물리학의 공통점 (0) | 2016.02.05 |
불교의 오대 (0) | 2016.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