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상록

편집인의 말 / 제4시집 <방랑자의 노래>에 수록

편집인의 말 / 제4시집 <방랑자의 노래>에 수록

 

시인의 도반들이 선불교의 공안집 중 벽암록 100칙에 대해 현대적 감각으로 선시를 써볼 것을 권해왔다. 시인은 선문답의 동문서답에 관심을 갖는 것은 별로 남지 않은 삶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포기했다. 아쉬웠다. 동문서답이라니 선사들을 폄훼하는 소리로 들었다. 그는 자신은 결코 불자가 아니며 그 이유는 재가자 오계를 지키지도 못할 텐데 불자인 양 답답한 탈을 쓰고 싶지 않다고 했다. 그는 붓다가 이루지 못한 모든 대중의 견성성불을 이루기 위해 자신이 '깨어난 자'가 되고자 노력했으나 철학과 비교종교, 역사, 우주물리학, 양자역학 등의 과학을 공부하면서, 예수, 소크라테스, 붓다, 노자와 장자, 공자와 맹자, 묵자, 한비자, 고자를 비롯하여 제자백가 등 수많은 성자가 다녀갔어도 세상을 바꿀 수 없다는 것은 알고 수행을 중단했다. 그러고는 “깨달아서 뭐할 건데.”라고 한마디를 내던지며 좌절했음을 밝혔다. 특히 창조자인 야훼를 아버지로 둔 예수에 이르러서는 일신론적 신앙에 더욱 심하게 좌절했다. 선불교에 좌절하고 티베트 달라이 라마의 시자가 되어 이적을 보여서라도 불자의 수를 늘리려는 청전 스님의 의지는 차라리 눈물겹지만 아름답다.

 

프랑스 철학자 아도르노는 ‘아유슈비츠수용소 학살 사건 이유로 낭만주의는 종언을 고했다’고 했다. 하여 시인은 낭만주의 시를 쓰는 비율이 극도로 적다. 신의 선택을 받은 민족 600만 명이 독가스의 희생물이 되었다는 것에 그는 절망을 느낀 나머지 세상을 향해 통곡을 터뜨린 것이다. 전쟁의 신 야훼를 아버지로 둔 그들은 아직 자손끼리 전쟁 중이며 앞으로도 그칠 이유가 없어졌다. 그들의 숫자는 대책 없이 늘어나고 보이지 않는 신의 계시를 받았다는 직업종교인 혹은 경제적 종교인으로부터 천당행을 약속받고서 목숨을 걸고 싸우는 그들의 신앙심을 이길 종교나 이론도 없으며 과학의 혜택을 누리면서도 실험과 검증을 통하여 확신을 증명할 때 가설에서 정설로 가는 가장 합리적인 과학적 진화론을 포함한 과학적 합리성은 휴지통 속 쓰레기보다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전쟁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그는 악은 집단의 속성이며 존재의 이유인 까닭에 인간의 이기적 유전자가 인간 생존과 보존, 발전을 위한 것이라는 것은 확실하게 주장했다.

 

다만 하나의 희망이 있다면 알파고, 즉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이 온다면 태어나면서 받는 이기적 유전자를 호혜적 유전자를 받게 제어할 수 있게 될지 모른다. 물론 모두 호혜적 유전자를 가지고 태어났다면 무척 재미없는 세상이 되겠지만 말이다. 불교는 교리문답을 대화체 형식으로 쓰므로 붓다가 자신을 지칭할 때는 ‘여래’를, 제자들이 부를 때는 ‘세존’을 사용한다. 동시에 수준 높은 제자들을 ‘존경하는 수행자’라 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