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윤회, 붓다도 예외 아니었다 / 배광식 윤회, 붓다도 예외 아니었다 6. 선혜(善慧)와 연등불(燃燈佛)불교에는 ‘윤회’가 있다. 그리고 윤회에서 벗어나고자 한다.붓다께서 녹야원에서 처음 설한 법[初轉法輪經]의 주내용이 고집멸도(苦集滅道) 사제법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불교에서는 세속의 삶을 모두 고(苦)로 본다[一切皆苦].태어나는 것도 ‘고’이다. 따라서 이 고해를 벗어나는 길은 윤회를 그쳐, 다시는 태어나지 않는 것이다. 윤회를 벗어나 붓다가 되려면 수많은 윤회 전생(轉生) 동안 수행을 해야 한다. 석가도 예외가 아니었다. 석가의 전생(前生)을 다룬 것이 자타카(Jataka, 本生)이다.〈남전대장경(南傳大藏經)〉은 율·경·논장의 순서로 되어있다. 이 중 경장(經藏)은 5부 〈니까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하나인 〈쿳다까 니까야(Khud.. 더보기
불교는 왜 진실인가 - 진화심리학으로 보는 불교의 명상과 깨달음 / 로버트 라이트 불교는 왜 진실인가 - 진화심리학으로 보는 불교의 명상과 깨달음 로버트 라이트 (지은이),이재석,김철호 (옮긴이)마음친구2019-01-25원제 : Why Buddhism is True: The Science and Philosophy of Meditation and Enlightenment (2017년) 책소개인간이 괴로움을 겪는 근본 원인이 세계를 있는 그대로 명료하게 보지 못하는 미망 때문임을 진화심리학의 렌즈로 살핀 뒤, 미망을 걷고 괴로움을 줄이는 실제적 처방으로 불교의 마음챙김 명상에 주목한다. 그밖에 공과 무아, 열반과 깨달음 등 불교의 주요 주장에 담긴 진리성을 형이상학과 도덕, 인간 행복의 차원에서 살핀다.진화심리학에 관한 로버트 라이트의 기념비적 저작인 『도덕적 동물』(1994)에서 시작.. 더보기
[詩, 불교를 만나다] 詩와 불교적 성찰, 삶을 깨우는 낯선 만남 [詩, 불교를 만나다] 詩와 불교적 성찰, 삶을 깨우는 낯선 만남기자명이일야 전북불교대학 학장    1. 프롤로그‘생각’ 근원은 낯선 상황과 조우의미 함축 詩, 사유 즐거움 불러경전·법문 요약 ‘게송’ 시와 유사시·불교 연결점 찾는 성찰의 재미생각(生覺), 삶이 깨어나다언제부턴가 불교 관련 수업을 할 때면, ‘생각’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하면서 시작을 한다. 내가 왜 불교를 믿는지, 그것이 나의 삶에 어떤 의미인지 생각하면서 신앙생활을 해야 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불교가 지나치게 기복적이거나 때로는 왜곡된 신앙으로 변질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신앙은 삶을 풍요롭고 의미 있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피폐하게 만든다. 종교가 사람을 걱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종교를 걱정하기도 한다. 심지어.. 더보기
[詩, 불교를 만나다] 사람과 사람, ‘맹구우목’의 因緣 [詩, 불교를 만나다] 사람과 사람, ‘맹구우목’의 因緣   이일야 전북불교대학 학장 입력 2025.01.24 11:08 댓글 1   2. 정현종의 〈방문객〉   생명, ‘관계’로 존재… 緣起 상통만남에서 과거·현재·미래 소통佛法 조우도 희유(稀有)한 기회‘환대’ 통해 만남의 인연化 가능   사람이 온다는 건몇 해 전 tvN에서 〈이번 생은 처음이라〉는 드라마가 인기리에 방영된 적이 있다. 재미도 있고 요즘 젊은 세대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엿볼 수 있을 것 같아 본방사수를 하였다. 특히 욜로(YOLO)로 상징되는 그들의 생각에 공감이 많이 되었다. 그들은 정체불명의 미래에 투자하기보다 지금 당장의 행복이 중요하다고 외친다. ‘인생은 단 한 번뿐(You only live once)’이기 때문이라는 것.. 더보기
黃金律, Golden Rule 황금률 黃金律, Golden Rule 1. 개요[편집]"Do unto others as you would have them do unto you." 黃金律, Golden Rule 자신이 대접받고 싶은 대로 남을 대접하라는 원칙. 인류의 수많은 문화, 종교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원칙이다.2. 내용[편집]수많은 종교의 경전에는 비슷한 의미의 문구들이 수록되어 있다. 유럽/중동 쪽에서는 기독교 윤리관의 기초를 이루는 예수의 명언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가 유명하다. 동아시아 쪽에서는 공자가 '내가 원하지 않는 바를 남에게 행하지 말라'[1]는 가르침을 남겼다. 예수가 '행하라'로 했다면, 공자는 '하지 말라'고 표현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예수는 적극적으로 '하라'고 했는데 .. 더보기
베를린 함락 1945 / 소련에 베를린이 함락되던 2주…독일서 200만명 여성에 행해진 성범죄 책과 삶 구독소련에 베를린이 함락되던 2주…독일서 200만명 여성에 행해진 성범죄입력 : 2023.08.25 20:40 수정 : 2023.08.25 20:41김원진 기자 사진 삭제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베를린 함락 1945앤터니 비버 지음·이두영 옮김글항아리 | 680쪽 | 4만원는 제2차 세계대전의 막바지인 1945년 1~5월을 다룬다. 1945년 4월 벌어진 약 2주간의 베를린 전투가 중심이다. 베를린 전투는 연합국의 소련이 주축이 돼 치러졌다.저자 앤터니 비버는 전작 등을 통해 전쟁을 기록해온 영국 역사학자다. 그는 이번에도 기록 보관소 자료, 일기, 회고록을 기반으로 베를린 전투를 재구성했다. 자연스럽게 초점을 옮겨가며 베를린 전투를 입체적으로 복원해냈다. 전쟁에 참가한 독일·미국·소련·영국.. 더보기
사실 불교는 윤회론에 큰 관심이 없다 자현의 아제아제 바라아제사실 불교는 윤회론에 큰 관심이 없다입력2021.11.03 19:0025면23139자현스님ㆍ중앙승가대 교수사진 삭제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여실화(서애자)흔히 불교 하면 윤회론을 떠올리는 분들이 많다. 또 요즘 들어 드라마나 영화 등 다양한 매체에서 윤회와 환생을 통한 신비적인 내용이 다루어지며, 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증대되는 모양새다. 십수 년 전만 하더라도 윤회는 '전생 최면' 같은 제한적인 가십거리일 뿐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다수의 게임에 '환생 시스템'이 있고, '다시 태어나도 같은 사람과 결혼하겠느냐?' 또는 '전생에 나라를 구했다' 등의 표현이 유행하는 상황이 되었다. 윤회론은 사실 불교가 창안한 것이 아니다. 인도의 전통문화에 윤회론이 존재하며, 불교는 이러한 .. 더보기
작가란 어떤 사람인가 / 172 쓰기라는 오만한 세계 / 파리리뷰 작가란 어떤 사람인가 / 172 아마 스페인 시인인 것 같은데(칼데론 데 라 바르카였을 겁니다), 그는 평생 한쪽 팔만 쓸 수 있는 수영선수처럼 살았다고, 다른 팔로는 물결 위로 자신이 쓴 시를 쳐들고 있어야 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말 소중한 것이었기 때문이지요. 이상한 일이지만 우리는 예전보다 시로부터 훨씬 멀어진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대다수 사람은 시에 관심이 없거나 시에 대해 아무것도 모릅니다. 교양 있고 세련된 사람들은 대부분 그림에 대해 좀 알기 때문에 미술관에 갑니다. 음악에 대해 좀 알기 때문에 음악회에 갑니다. 그러나 시인들을 제외하면 시에 관심이 있거나 시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은 없습니다. 시인들은 다른 사람이 시를 읽을 거라고 기대하지 않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