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썸네일형 리스트형 원력 (願力)과 서원(誓願) 원력 (願力)과 서원(誓願) 원(願)이란 무엇인가. 자신이 바라는 것을 말합니다. 바람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의당 불자라면 자기자신만을 위하거나 세간적 이익 욕망을 성취하길 바래선 안됩니다. 보다 많은 사람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서 중생의 구제를 하겠다는 다짐이 불자의 올바른 원이라 하겠습니다. 그래서 관세음보살님은 "만약 언제 어느 곳에서든 고통과 괴로움에 빠진 중생이 나를 부를 때는 반드시 그곳에 가서 구해내리라. 만약 그렇지 못할 때는 결코 성불을 하지 않으리라"라고 크나큰 원을 세우셨습니다. 또한 지장보살님은 "지옥에 있는 중생을 모두 구하기 전에는 결코 성불하지 않겠다"는 원을 세웠고 나중에 아미타불이 되신 법장비구는 "만약에 내 이름을 부르는 이가 극락세계에 나지 못한다면 나는 결코 부처가 되.. 더보기 西洋의 佛敎現況(불교현황) 西洋의 佛敎現況(불교현황) 이제 불교는 동양의 종교일 수만은 없게 되었다. 서구 지성인의 양심으로는 불교를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불교가 서양에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에 벌써 지 중해 연안과 그리스 로마에까지 전해졌다는 설이 있다. 그러나 불 교가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초 부터 였으며 20 세기에 들어서서는 상당한 수준에 올라왔다. 서양 종교의 선교사들이 식민 정책의 후광을 업고 주입시켰던 아시아에서의 선교와는 달리 불교는 지금 서양인들 스스로의 자각 과 관심에 의해 불교를 연구하고 전법 활동을 벌이고 있다. 지금의 서양은 활발한 불교 연구가 전개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1. 영국의 불교 대영제국 식민지인 인도, 버어마, 스리랑카의 영향으로 초기에는.. 더보기 불교의 죽음 이해 / 김재성 불교의 죽음 이해 / 김재성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대한불교조계종 전통사상서 간행위원회 선임연구원 I. 머리말 II. 불교에서 보는 삶과 죽음 III. 업과 생사의 문제 IV. 죽음을 주제로 한 명상 V. 죽음 그 너머에 대한 불교적인 이해 VI. 맺는말 I. 머리말 불교는 생로병사(生老病死)를 포함한 모든 괴로움을 소멸시키기 위해, 2600여년 전 역사적으로 실재했던 고타마 붓다에 의해 제시된 가르침이다. 네 가지 고귀한 진리[사성제]로 대표되는 초기불교의 가르침의 궁극적인 목적은 바로 ‘괴로움의 소멸의 진리’인 고멸성제 즉 열반의 실현에 있다. 열반이란 불사(不死, amata), 적정(寂靜, santi), 무사(無死, amaccu)와 동.. 더보기 불교의 철학적 성향 불교의 철학적 성향 불교는 인도종교사 가운데 완전히 새로운 현상은 아니었다. 이미 현존하고 있는 브라만 또는 비아리안적인 관념들을 토대로 해서 성립되었기 때문이다. 석가모니 이전 BC 6세기경에는 아트만·카르마·목샤(해탈)라는 브라만적인 이론들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들이 있었다. 푸라나 카샤파류의 자연주의자, 아지비카 즉 마칼리 고샬라류의 결정론자, 아지타 케사캄발린류의 물질주의자, 자기훈련의 고행과 업의 효용성을 믿었던 니간타 나타푸타, 회의주의자인 산자야 베탈리푸타 등이 반대의 대표자들이었다. 불교·자이나교·아지비카는 모두 브라마나의 제식주의적 다신론, 〈우파니샤드〉의 일원론적 신비주의를 함께 부정했다. 이들 모두는 우주 속에 있는 자연법의 지배를 인정했다. 불교는 아트만이라는 근본개념은 거부했으나, .. 더보기 초월과 내재 : 불교적 상상력을 가로지르는 비인간 행위소와 모더니즘의 문제들By 프란체스카 타로코 초월과 내재 : 불교적 상상력을 가로지르는 비인간 행위소와 모더니즘의 문제들 By 프란체스카 타로코 “사이보그가 초과의 하이브리드 존재가 아니라면 무엇이란 말인가? 부분의 합을 넘어서는 것. 그 힘을 연장하고, 개선하고, 초월해 버린 것.” — 신선영, 『참을 수 없이 탁월한』, 2016.1 기술과 제의적 부활의 존재들 2016년 베이징 소재 용천사는 방문객과 소통할 수 있는 소형 ‘로봇 스님 셴얼(贤二机器僧)’을 소개했다. 2017년 소프트뱅크는 불교식 장례를 치르는 승려 로봇 ‘페퍼(Pepper)’를 개발했다. 2019년 교토 소재 사찰 고다이지의 주지 스님이 로봇 ‘마인더(Mindar)’를 관음보살의 현시로서 사당에 안치하는 역사적인 결정을 내렸다.2 한국, 일본, 중국이 경쟁적으로 기술적 혁신을 .. 더보기 종교 난립한 근대… 불교,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종교 난립한 근대… 불교,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불교로 읽는 古典 - 이능화의 〈백교회통〉 한학, 영어 능통한 근대학자 이능화 기독교 등 11개 韓·세계 종교 비교한 불교 호교론 중심 〈백교회통〉 저술 종교 진화, ‘무교-유교 기독교-불교’ 다원주의·비교종교적 관점서 설파 근대종교로서 불교 책무 고민 〈백교회통(百敎會通)〉은 근대 한국학 연구의 초석을 닦은 상현(尙玄) 이능화(李能和, 1869-1943) 선생이 1912년에 펴낸 책이다. 이 책은 비교종교학적 방법론에 입각한 것으로 동서고금의 11개 종교와 불교의 교리를 비교 설명하면서 불교의 우수성과 장점을 강조하고 있다. 전통시대에서 근대로의 이행이 이루어지던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는 기존의 유교, 불교, 민간신앙 등과 더불어 천주교, 개신교, .. 더보기 승가교육 1 승가교육 1 미국에서 불교학을 연구 강의하고 있는 일아스님이 최근 승가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정리한 편지를 조계종 교육원에 띄웠다. 스님은 이 글을 22일 에 보내왔다. 승가교육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담아낸다는 뜻에서 전문을 2회에 나눠 싣는다. 승가교육은 백지에 새로 짜야 합니다. 존경하는 대덕스님들께, 종단을 이끄시는 존경하는 여러 대덕스님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저는 미국에 살고 있는 비구니 일아입니다. 미국에서 공부를 시작한지도 18년이 됩니다. 총무원장님과 교육원장님이 새롭게 바뀌었고 이 분들은 능히 남이 상상 할 수 없는 일대 개혁을 하여 고여 있는 물의 물꼬를 터서 다시 이 시대에 필요한 불교를 세우시리라 확신하며 이 글을 씁니다. 저는 기독교와 가톨릭에 수년간 익숙하게 살았.. 더보기 승가교육 2 승가교육 2 승가교육은 백지에 새로 짜야 합니다② 미국에서 불교학을 연구 강의하고 있는 일아스님이 최근 승가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정리한 편지를 조계종 교육원에 띄웠다. 스님은 이 글을 22일 에 보내왔다. 승가교육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담아낸다는 뜻에서 전문을 2회에 나눠 싣는다. 2. 강원 교과목의 문제점: -대부분 승가대학 현 교육과정을 보면: 학년 전통 명칭 과목 이름 (기본 과목) 약간의 다른 과목 있음 1학년 치문과 치문 2학년 사집과 서장, 도서, 선요, 절요, 우법소승… 3학년 사교과 능엄경, 기신론, 금강경, 원각경 4학년 대교과 화엄경 과목 한자명 내용 저자 치문 緇門 중국의 역대 선지식들의 유문을 편집한 책 중국 스님 서장 書狀 대혜종고 스님이 선의 질문에 답한 편지글 중국 스.. 더보기 이전 1 ··· 6 7 8 9 10 11 12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