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

한국 대표하는 기도 성지 총망라 한국 대표하는 기도 성지 총망라 황찬익 지음|클리어마인드 펴냄|1만6천원 이 책은 1991년 이후 조계종 총무원을 비롯해 포교원과 봉은사 등에서 기획차장과 종무실장, 문화사업단장의 소임을 거치면서 불교에 대한 안목을 넓힌 저자가 전국의 수많은 사찰 중 대표적 기도 도량 26곳을 찾아 소개한 것이다. 그 곳에 깃든 불보살들의 재미난 이야기와 사찰 기도에 얽힌 유래를 들려준다. 물론 각지에 흩어져 있는 수많은 절 가운데 기도처가 아닌 절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기왕이면 오랜 세월 조상들의 발걸음과 기도 원력이 켜켜이 쌓인 영험한 절을 간다면 신심더 더 고취되고 기도도 여법해 질 것이다. 이 책에서는 잘 알려진 3대 관음기도처, 3대 지장기도처, 3대 독성기도처 및 5대 적멸보궁을 함께 묶어서 한국을 대표하는.. 더보기
기도는 불교적인가 기도는 불교적인가 기도 서적 5145종 중 불교는 2.3% 불교학계 기도 다룬 논문도 극소수 기도 외면할수록 불교 종교성 퇴색 사찰에서 기도는 일상적으로 쓰이는 용어다. ‘초하루기도’ ‘삼칠일기도’ ‘백일기도’ ‘천일기도’ ‘철야기도’ ‘관음기도’ ‘지장기도’ ‘다라니기도’ ‘방생기도’ 등 숱한 기도들이 있다. 그럼에도 기도는 종종 부정되거나 평가절하된다. 명망 있는 스님들조차 “불교는 자력종교이고 수행의 종교이므로 빌고 바라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라거나 “기도는 하근기 중생들을 위한 방편”으로 표현한다. 이러다 보니 모든 절에서 기도가 행해지지만 정작 불교 안에서 기도의 위상은 대단히 낮다. ​ 이러한 모순된 현상은 출판계와 학계에서 선명히 드러난다. 교보문고에 따르면 기도 관련 서적이 5145종에 이.. 더보기
대한불교천태종 총본산 구인사 창건과 그 의미 대한불교천태종 총본산 구인사 창건과 그 의미 대한불교천태종 구인사는 한국 천태종의 총본산이자 한국 관음신앙의 중심 역할을 해오고 있다. 대한불교천태종은 상월조사에 의하여 근대불교기에 중창되었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는 한국을 대표하는 불교종단의 하나이자 관음신앙의 성지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가람의 지정학적 연구 또는 가람배치에 관한 연구와는 달리 구인사가 종교적 성지로서 갖는 위치에 대한 조명과 대중불교 수행도량으로서 갖는 수행공간으로서의 사격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본 논문을 통해 대한불교천태종 총본산 구인사의 건립 역사와 그 내력을 통하여 구인사가 관음신앙의 중요한 성지로서 갖는 사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느 사찰과는 달리 구인사는 관음주송 수행을 실천할 수 있는 수행공간임을 확인.. 더보기
종교로서의 불교. 종교로서의 불교. 가피(加被), 깨달음, 제도(濟度) 종교적 신념의 유형을 기복(祈福), 구도(求道), 개벽(開闢)으로 나누어 보는 견해가 있다. 복을 받고 화는 피하는 것을 종교적 관심의 초점으로 삼고 그것을 위주로 해서 신행을 전개하는 것이 기복형이다. 여기에서는 주로 초월적인 힘을 지닌 존재의 의지에 따라 화복이 나뉜다는 관념이 바탕이 된다. 한편, 세상과 인생의 궁극적인 원리와 그것을 체득하는 경지에 관심을 두고 이를 위해 수행하는 것을 위주로 하는것이 구도형이다. 여기에서는 개인의 노력이 가장 중요한 관건이 된다. 그리고, 개인 단위로써가 아니라 이 세상 전체의 혁명적인 변화를 전망하면서 이에 대비하거나 그 변화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개벽형이다. 세상 전체가 바뀌어 일거에 종교적 이상이 현.. 더보기
삼보(三寶)] 불교 신앙의 대상은 무엇인가? 삼보(三寶)] 불교 신앙의 대상은 무엇인가? 삼보란 불교도들에게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신앙의 대상으로서 불보, 법보, 승보를 말하는데,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위덕(威德)이 있는 최상의 것이며, 변하지 않음이 세간의 보배와 같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다. 이는 불교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적 요소이기도 하다. 불보(佛寶)는 천상 천하에 으뜸가는 참스승으로서 깨달음을 성취한 모든 부처님, 즉 석가모니(釋迦牟尼)를 비롯하여 과거, 현재의 부처님뿐 아니라 앞으로 깨달음을 얻을 미래의 모든 부처님까지도 포함한다. 모든 법을 통달하여 세상을 비추어 보는 지혜인 대원경지(大圓鏡智), 모든 법이 본래 평등하여 하나의 본바탕을 지니고 있음을 통찰하는 지혜인 평등성지(平等性智), 모든 중생의 업(業)과 근성(根性)을 빠짐없이 살.. 더보기
불교 가로막고 서 있는 두 개의 산 불교 가로막고 서 있는 두 개의 산 불교를 포함해 인도에서 발생한 거의 모든 종교에서는 윤회를 당연시했다. 그러나 순세파만은 예외였다. 순세파(順世派)는 로까야따라는 산스끄리뜨어의 번역어인데 문자 그대로 ‘세속에 순응하는 학파’라는 뜻이다. 그 시조의 이름을 따서 짜르와까라고 불리기도 했다. 순세파에서는 철저한 물질주의, 유물론를 가르친다. 이 세상에는 오직 지(地), 수(水), 화(火), 풍(風)의 네 가지 물질만 존재한다. 우리의 정신은 이런 네 가지 물질에서 파생된 것일 뿐이고 죽으면 모든 것은 끝이다. 윤회는 없다. 지옥이나 천상과 같은 내세가 있다는 가르침은 모두 거짓말이다. 따라서 감각적 쾌락에 탐닉하며 사는 것이 최선의 길이다. 이들 순세파의 경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노래하였다. “살아 있을 .. 더보기
불보살 영험 이야기 불보살 영험 이야기’ / 이수경 지음 / 운주사 ▲ ‘불보살 영험 이야기’ 불교는 분명 깨달음의 종교다. 그래서 스스로 부처님이 발견하신 중도와 공의 이치를 깨닫기 위해 참구하고 또 참구한다. 절대자나 신의 도움 없이 이미 불성을 갖춘 자기를 깨닫는 철저한 자기수행의 종교라고 말하는 이유다. ​ 한국·중국·일본서 전하는 대표적인 기도영험담 담겨 옛 스님·선사들 일화소개 불자들에 용기·위안줄 것 ​ 그러나 오늘날 한국불교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자기 깨달음을 추구하는 이면에 간절한 기도를 통해 불보살의 가피와 이적을 경험한 이들이 적지 않음을 볼 수 있다. 또한 곳곳에 기도도량으로 이름난 사찰이 적지 않고, 지금 이 시간에도 기도도량을 찾아 불보살의 가피를 바라고 정진을 다짐하는 이들이 있다. ​ 불교가 자.. 더보기
한국불교의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한국불교의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1 21세기와 불교 한국불교의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李秀昌(摩聖)** Ⅰ. 머리말 Ⅱ. 종파 난립의 문제 Ⅲ. 법사 제도의 문제 Ⅳ. 사찰 관리의 문제 Ⅴ. 승려 자질의 문제 Ⅵ. 맺음말 Ⅰ. 머리말 현대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 그 발전의 속도가 엄청나게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야말로 빛의 속도로 모든 현상들이 변하고 있다. 급변하는 현대에 어떻게 적응하느냐에 따라 개인은 물론 국가의 흥망이 달려있 다. 역사적 산물(産物)인 종교도 예외일 수는 없다. 물론 종교의 본질 혹은 교리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보편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종교적 현상은 그 종교가 몸담고 있는 주변 환경의 영향을 직접 혹은 간접으로 받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현재의 주변 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