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과 깨달음은 무엇인가 썸네일형 리스트형 초기선종에 나타난 ‘見性’의 구조와 의미에 대한 고찰/자성에 대한 글 초기선종에 나타난 ‘見性’의 구조와 의미에 대한 고찰 김호귀/ Ⅰ. 서언 Ⅱ. 열반경의 불성 Ⅲ. 견불성 Ⅳ. 초기선종의 견성 1. 도신과 홍인의 견성 2. 혜능의 견성 3. 일행삼매와 견성 Ⅴ. 결어 초기선종에서 사용되고 있는 견성의 의미는『열반경』에서 말하는 견불성의 의미로 요약된다. 이후 吉藏에게 와서는 견성이 불성을 깨치는 입장으로 강조되었다. 더욱이 그 구조에 대해서도 見佛性․見實性․堅眞如 등의 다양한 활용으로서 나타난다. 달마의「혈맥론」과 「능가사자기」의 도신에 이르러서는 見과 佛性을 동일시하는 자각이 보이고, 見이라는 의미가 불성을 본다라든가 性을 본다는 표현이 아니라 卽見性의 당체가 불성이고 佛로 변화되어 있다. 따라서 性卽是心 心卽是佛과 마찬가지로 見本性은 見佛性과 동일한 의미를 .. 더보기 초기 불교에서 재가자의깨달음에 대한 재고-깨달음의 세 가지 특성들과 관련하여 초기 불교에서 재가자의 깨달음에 대한 재고 -깨달음의 세 가지 특성들과 관련하여 김한상/한국외국어대학교 HK연구교수 I. 들어가는 말 II. 깨달음의 보편성 III. 깨달음의 다면성 IV. 깨달음의 순차성 V. 나가는 말 [요약문] 이 논문은 초기 불교에서 재가자의 깨달음(bodhi)을 깨달음의 세 가지 특성들인 보편 성, 다면적 과정, 점진적 과정과 연관시켜서 재조명해보려는 시도이다. 일부 학자들은 재가자가 이번 생에 깨달음을 얻을 수 없으며 그들의 종교적 이상은 선하게 살고 출가 자들을 물질적으로 후원함으로써 하늘에 재생하는 것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하지 만 이는 오해이다. 깨달음은 헌신이나 신의 은총에 달린 것이 아니라 사물들을 있는 그 대로 보는 바에 달려 있으므로 사중 모두에게 개방.. 더보기 초기불교 문헌에 나타나는 깨달음의 다원적 양상-니까야를 중심으로 초기불교 문헌에 나타나는 깨달음의 다원적 양상 -니까야를 중심으로 이필원/동국대학교(경주) 파라미타칼리지 I. 이끄는 말 II. 유학과 무학의 깨달음 III. 운문경전에 나타난 깨달음 IV. 결론 [요약문] 불교가 추구하는 목적은 ‘깨달음의 성취’를 통해 고통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결 국 깨달음이란 고통을 해결하는 궁극적인 방법인 것이다. 하지만 사람마다 세상을 바라 보는 시각이 다르고, 삶에서 마주하는 고통의 내용도 같지 않다. 그렇기에 깨달음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깨달음의 다원적 양상을 말할 수 있는 이 유이다. 일반적으로 깨달음을 논할 때 bodhi라는 말을 주로 사용하는데, ‘깨달음(bodhi)’ 이라는 용어만을 대상으로 하면 그 범위가 너무 좁아진다. .. 더보기 삼십칠조도품 / 초기 불교의 수행법 초기 불교의 수행법 삼십칠조도품 연원 및 변천 초기 불교의 수행법을 총칭하여 부르는 삼십칠보리분법의 산스끄리뜨어 원명은 ‘삽따뜨림싸뜨 보디빠끄샤 다르마(saptatriṁśat bodhipakṣa dharma)’이지만 한역의 『아함경(阿含經 Āgama)』,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Abhidharmakośa śāstra)』, 그리고 대표적인 대승경전인 『유마경(維摩經, Vimalakīrti nirdeaśa sūtra)』에서는 삼십칠도품, 삼십칠조도품, 삼십칠품 등 매우 다양한 이름으로 불렀다. 이것은 ‘37’을 뜻하는 ‘삽따뜨림싸뜨(saptatriṁśat)’가 후행하는 ‘b’음의 ‘삼디(saṃdhi)’의 영향으로 바뀐 ‘삽따뜨림싸드’에 뒤따라 나오는 ‘보디빠끄샤 다르마’를 통일하지 않고 한역한 결.. 더보기 명상을 하다 겪는 신기한 경험들 /이해할 수 없는 신기한 경험을 했을 때 대처하는 법 명상을 하다 겪는 신기한 경험들 / 이해할 수 없는 신기한 경험을 했을 때 대처하는 법 명상을 하든, 기도를 하든, 어떠한 영적 수행을 하든 여러 가지 설명할 수 없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모든 경험을 모두 불교에선 경계(境界)라고 부르고, 영어로 'states'라고 표현합니다. 명상을 하다 보면 어느 순간 몸이 깃털처럼 가볍게 느껴지도 하고, 다리가 납덩어리처럼 무거워서 일어날 수가 없을 때도 있습니다. 양쪽 다리에 무게가 생겨서 아무리 노력을 해도 다리가 움직이지 않습니다. 사실 이런 건 초심자에게 흔하게 일어나는 일입니다. 어떤 분들은 참선을 하다가 갑자기 다리가 사라진 것처럼 느껴졌다고 합니다. 계속하다가 몸이 다 사라지는 경험도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갑자기 몸이 부들.. 더보기 무엇을, 왜… 깨달음도 시대따라 변해야 “무엇을, 왜… 깨달음도 시대따라 변해야” 오늘날 ‘깨달음’의 백가쟁명의 시기가 도래한 것처럼 느껴진다. 이제 더 이상 ‘깨달음’이라는 말은 불교만의 전유물이 아니며, 그에 관한 온갖 행법 또한 소수 수행자들만의 영역이 아니라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또 다른 산업이 되고 있다. 그런데 그들은 무엇을 깨닫고자 하는 것인가? 정작 깨달음의 종교인 불교에서는 무엇을 깨치라고 말하는 것인가? 흔히들 진리라고 말하지만, 세상의 어떠한 종교도 철학도 사상도 진리를 외치지 않은 것이 있었던가? ‘진리’란, 굳이 원효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그 말을 발한 화자의 관념만큼이나 무량의 스펙트럼이 존재하기 때문에 고정불변의 실체적 의미를 갖지 않는다. 그것은 불교사상사 안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초기불교에서 직접적으로 .. 더보기 道生의 頓悟成佛論 批判 / 차차석 (동국대학교) 道生의 頓悟成佛論 批判 / 차차석 (동국대학교) 1. 緖 言 道生(372-434)은 위진 시기의 대표적 불교사상가 중의 한사람이다. 그는 처음 여산혜원의 문하에서 공부했다. 그러나 구마라집이 장안에 들어왔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가 그의 문하에서 공부를 했으며, 僧肇와 더불어 구마라집의 제자들을 대표하는 사람이 되었다. 도생은 석도안, 여산혜원으로 이어지는 전통 한족출신들의 학풍을 계승하는 한편 구마라집의 대승불교사상을 수용하여 불교사상이 중국사상과 융합하여 새롭게 발전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생애를 통해 많은 저술을 남겼으며, 그 중에서도 돈오성불론은 당시까지 전개되고 있었던 漸悟와 頓悟의 논쟁에 종지부를 찍은 것으로 유명하다. 당시까지 전개되고 있었던 깨달음의 문제는 漸悟.. 더보기 재가불자의 수행방법 재가불자의 수행방법 (1) 안 거 부처님 당시 비가 많은 여름 석달동안은 유행을 중단하고 일정 한 장소에 머물면서 연구와 정진등의 수행에 힘쓰도록 하였다. 이것이 안거로 하안거는 음력 4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이며 동안거는 음력 10월 15일부터 다음해 1월 15일까지이다. 안거는 계율을 정비하고 수행자의 정신력을 보충하는 기회다. (2) 포 살 불자로서 성심으로 참회하여 신(身), 구(口), 의(意)를 청정히하여 팔계(八戒)를 받아 행하는 것을 포살이라 한다. 출가한 스님은 매월 15일과 30일 보름마다 한번씩 행해지며 재가신도도 일정한 날을 정해 깨끗한 마음으로 하루를 생활하는 등 출가수행자가 되어야 한다. 예로부터 재가불자도 포살일에는 단식이나 절식을 하면서 성적 행위등 금욕생활을 했다. (3.. 더보기 이전 1 2 3 4 5 ··· 3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