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화선. 묵조선. 선

간화선과 인격 간화선과 인격 윤창화 도서출판 민족사 대 간화선 선승들 自己 강해 타 수행법 ‘엉터리’치부 下心 통해 인격 갖춰야 깨달았다는 것, 부처가 되었다는 것은 모든 욕망과 번뇌 망상 등을 억제, 소멸시키고 성스러운 사람, 즉 성인(聖人)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성인이란 학문적 탐구와 정신적 수행을 통해 흠집 없는 인격, 전인적 인격의 소유자를 뜻한다. 붓다를 비롯해 공자, 노자, 소크라테스 등 성인들 모두가 전인적 인격의 완성자였다. ​ 중국 선불교의 유명한 선승들 곧 달마, 승찬, 도신, 홍인, 신수, 혜능을 비롯해, 마조, 백장, 조주, 황벽, 운문 등도 원숙한 인격의 완성자였다. 백장 회해의 정신이 담긴 ‘일일부작 일일불식(一日不作 一日不食,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말라)’은 굳이 해석하지 않아.. 더보기
전기 ‘스티브 잡스’에 불교인연․수행 담아내 전기 ‘스티브 잡스’에 불교인연․수행 담아내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천재 스티브 잡스(1955∼2011). 그는 완벽을 추구하는 열정과 맹렬한 추진력으로 IT혁명을 일으킨 창의적 기업가이면서도 롤러코스터 같은 인생역정을 거쳐 온 생활인이다. 기존 웹사이트가 아닌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콘텐츠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 스티브 잡스는 창업 이래 지난 10월5일 사망하기까지 매킨토시, 아이맥, 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 등 끊임없이 세상을 변혁하는 제품을 내놓았다. ​ 그리고 무엇보다 단순히 이윤을 남기는 회사가 아니라 ‘애플’이라는 지속 가능한 기업을 창출함으로써 IT업계 경쟁자들과는 또 다른 면모를 보였고, 그런 이유로 수많은 사람들이 그의 죽음을 안타까워하고 있다. ​ 스티브 잡스가 이토록 열정적 .. 더보기
[뇌 과학과 불교 수행, 그리고 심리치료] [뇌 과학과 불교 수행, 그리고 심리치료] 이성동|정신과 전문의 ​연재 ​ ⑤ 제임스 오스틴(James Austin Ph.D.) 선 체험으로 자아의 소실과 융합을 경험한 신경학자 불교의 선 체험과 뇌는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일까? 현대의 뇌 과학은 이 질문에 답을 할 수 있는 것일까? 전통적인 입장에서 보면 뇌 과학이라는 자연과학적 입장만으로는 선적 체험의 전부를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오스틴은 이에 도전한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선적 체험이라는 주관적인 마음의 심상과 뇌 과학적 규명은 결코 분리된 것이 아니라 함께 갈 수 있다고 한다. ​ 오스틴은 누구인가? ​ 오스틴은 신경과 임상 의사로서 선 불교에 해박하면서도 실제 그 자신이 선 명상과 수행에 아주 열심인 학자다. 그는 하버드대학교 메디컬.. 더보기
티벳불교 - 딴뜨라(탄트라) : 무상요가 수행 I 티벳불교 - 딴뜨라(탄트라) : 무상요가 수행 I ​ ​들어가는 말 ​ “무상요가는 기본적으로 이 지구상에 살고 있는 욕계(欲界) 인간들의 근기에 맞게 안배된 수행입니다. 아버지에게서 뼈와 골수와 정(精)을 받고 어머니에게서 살과 피부와 혈(血)을 받아 여섯 가지 원소로 구성된 몸을 가진 인간들을 위한 것입니다. ​ 무상요가의 특징을 보면, 수행을 통하여 부처를 이룬 결과인 삼신(三身: 법신 보신 화신)(*역주: 불교 딴뜨라에는 이외에도 사신(四身), 오신(五身)으로 확장된 불신(佛身)의 개념이 있지만, 본질적으로 삼신의 개념과 크게 다르지 않다.)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악한 몸을 가진 인간의 속성으로 인해 거치게 되는 죽음, 중음(中陰), 탄생의 과정을 완전히 정화할 수 있는 방법들을 담고 .. 더보기
정서 안정과 창의력 증진을 위한 훈련으로써 명상의 활용 정서 안정과 창의력 증진을 위한 훈련으로써 명상의 활용 강도형 | 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 교수 ​ ​ 1. 뇌기능 증진을 위한 훈련법으로써의 명상 명상은 의식, 주의, 지각, 정서, 자율신경계 등의 변화를 포함하는 복잡한 정신 작용이다.1) 동양에서 전통적인 수행 방법으로 내려오던 명상은 서구 사회에 소개되면서 본격적으로 심리적, 의학적 치료 방법의 하나로 이용되기 시작해 현재는 중요한 완화요법 또는 통합의학의 방법으로 자리 잡았다. 아직까지 명상의 기전이나 효과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지만, 최근에는 신경과학 연구 방법의 발달에 힘입어 명상이 일으키는 뇌신경학적인 변화의 과정이 활발히 탐구되고 있다. 또 마음-몸 상호작용(mind-body interaction)의 관점에서 명상의 활용 가능성이 활발하게 논의.. 더보기
간화선이란 무엇이며 왜 최고의 수행법인가 간화선이란 무엇이며 왜 최고의 수행법인가 “간화선에서는 화두에 집중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대상으로 향하는 우리들 의식의 지향성을 멈추게 한다. 그것이 감각기관을 통해서 들어온 것이든 아니면 나의 의식 속에 잠재되었다가 솟아나는 것이든 일체의 모든 것을 놓아버리라고 한다. 놓아버린다는 생각마저 없이 그저 무심하게 놓아버리라고 한다. 이렇게 해야만 일체의 번뇌가 소멸되어 우리 자신 속에 본래 간직된 상락아정(常樂我淨)이 자신 속에서 넘쳐나고나아가 남에게도 미친다.” 간화선이라 말뜻을 먼저 설명해보면, 선(禪)은 선(禪)인데, 화두(話頭)를 관찰하는 선이라는 뜻이다. ‘간(看)’이라는 글자에는 ‘보다’라는 뜻이 들어있다. 우리말로는 ‘든다’라고도 말한다. 그래서 ‘화두를 든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러면 ‘선’.. 더보기
현대 한국의 간화선 이슈와 분석 현대 한국의 간화선 이슈와 분석 목차 Ⅰ. 머리말 Ⅱ. 간화선의 기원과 역사적 전개 Ⅲ. 한국 간화선의 문제점 Ⅳ. 간화선의 문제점 분석 Ⅴ. 불교 수행의 새 정의 Ⅵ. 맺음말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한불교조계종의 주요 수행법인 간화선과 관련된 논쟁을 검토하고, 그 논쟁의 내용을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한 후, 불교 수행의 대안을 모색하려는데 있다. 제l장 머리말에 이은 제2장에서는 한국 간화선의 기원과 역사적 전개를, 제3장에서는 승단과 학계에서 전개된 간화선에 관한 논쟁을, 제4장에서는 현대 한국에서 간화선이 가진 문제점을, 제5장에서는 기존의 불교수행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현대 한국의 간화선은 그 목표를 포함하여 상당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으며, 승단의 주장과는 달리, 역사적으로도 철학적으로도 그것이.. 더보기
배휴[ 裴休 ] 배휴[ 裴休 ] 요약 중국 당나라의 관리로 선불교에 관심이 많았다. 규봉 종밀과 황벽 희운에게 사사하였고 그들의 저작에 서문을 썼다. 회창 폐불 사건 때는 위앙종을 만든 위산 영우를 찾아내 동경사에 모시기도 했다. 그가 황벽 희운을 만난 일화는 '황벽형의'라는 화두가 되어 여러 화두집에 수록되었다. 출생-사망 791 ~ 870 호 공미(자) 국적 중국 활동분야 관리 출생지 맹주 제원 《신당서(新唐書)》 권107에 전기가 실려 있다. 전기에 따르면 맹주(孟州) 제원(濟源)에서 출생하였고, 자는 공미(公美)이다. 진사시험을 치러 현량방정(賢良方正)에 뽑힌 뒤 여러 관직을 거쳐 병부시랑영제도염철전운사, 중서문하평장사, 선무군절도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소의(昭義)·하동(河東) 등 여러 곳의 절도사로 일하였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