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화선. 묵조선. 선 썸네일형 리스트형 淸虛 休靜의 禪思想(청허 휴정의 선사상)_ 淸虛 休靜의 禪思想(청허 휴정의 선사상)_논평·63/답변·71 釋 宗 眞(석종진) 海 印 寺 律院長 목 차 | (1/2) | (2/2) | 1. 머리말 2. 修學(수학)에서 영향받은 經典(경전)과 禪籍(선적) 3. 새로 確認(확인)된 著述(저술)과 編著(편저) 4. 引用書(인용서)로 본 禪思想(선사상)의 特性(특성) ↘ 현재 페이지 ▼ (2/2) | △ 첫 페이지 (1/2) ↖ 5. 思想(사상)의 影響(영향)과 繼承(계승) 6. 맺음말 淸虛 休靜(청허 휴정)의 禪思想(선사상)에 대한 논평 논평에 대한 답변 5. 思想의 影響과 繼承(영향과 계승) 청허의 사상은 恩師[은사: 養育師(양육사)]였던 崇仁(숭인)이 출가 전에 마음공부를 위해서 제시했던 불전과 선종 관계의 전적이 공통적인 기반을 이루었다. 그의.. 더보기 좌선하는 방법과 유의점 ㅡ 좌선자세의 목적은 몸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다. 1강.불교명상이란? #1 좌선하는 방법과 유의점 ㅡ 좌선자세의 목적은 몸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다. 1. 결가부좌 좌선을 하는 자세에는 기본적으로 발이 허벅지 위로 올라가는 결가부좌라고 합니다. 오른쪽 다리 왼쪽 허벅지 위로 올리고 왼쪽 발을 오른쪽 허벅지 위로 올리는 이 자세입니다. 해보세요, 할 만 합니까? 좀 힘들죠. 이게 결가부좌인데요, 쉽지 않은 자세입니다. 열심히 노력하면 편해질 수도 있어요. 가장 안정적인 자세이기도 하죠. 좌우 대칭이 되고, 이 자세가 익숙해지면 뒤로 넘어가지도 않고 편안하게 익숙해지는데 이게 편해질려면 한 10년은 좌선을 열심히 하셔야 됩니다. 하루에 8시간 10시간 하면 자세가 잡힙니다. 되게 힘듭니다. 스님들도 힘들어요, 부처님 앉아계신것처럼 결가부좌를 할 필요는.. 더보기 나말여초 선사상의 원류 이론은 ‘조사선’ 기반 … 실천방법은 ‘간화선’ 법랑선사의 스승인 도신의 도량으로 일컬어지는 중국 호북성(湖北省) 황매(黃梅)의 사조사. 인간 중시 관점에서 출발해 본 바탕 ‘자성’ 청정에 역점 ‘돈오’ 달마 법맥, 혜능 이후 선종사 측면 큰 물줄기 형성 구산선문 외 5가7종도 수입 “조계종 종조는 도의국사”… 지증대사적조탑비에 따르면 우리나라 禪 전래자는 법랑 신라 말 고려 초 산문(山門)이 받아들인 선법(禪法)이 중국 당나라 때의 조사선이다. 조사선은 한국선의 원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조계종 교육원에서 간행된 에 조사선의 시작과 그 조사선의 발달을 이렇게 언급하고 있다. “부처님께서 가섭에게 세 곳에서 마음을 전하였고(三處傳心 : 靈山會上拈花微笑, 多子塔前分半坐, 沙羅雙樹槨示雙趺), 이 법이 .. 더보기 선의 역사와 선사상 선의 역사와 선사상 禪思想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체계있게 정리한 이출간됐다.性本스님(한국선문화연구원장)이 펴낸 이 책은 동양의 마음이며 인류의지적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는 중국의 조사선을 중심으로 선사상의 형성과전개를 시대별로 서술했다. 성본스님은 일본 駒澤대학에서 [중국 선종의 성립사연구]로 박사학위를받은 문학박사.축적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풀어낸 이책은 禪의 기원을밝히는 인더스문명과 선의 풍토로 시작한다. 선의 근원인 요가수행법의 발달을 상세히 살피면서 요가의 수행과명상이 불교의 새로운 실천수행법으로 확립되었음을 부처님의 선정사상에서 확인했다. 또 이책은 부처님의 친설은 아니지만 부처님 교설에 의해 철저히 깨달아[부처가 된 입장]에서 설한 대승불교속의 禪사상을 반야, 법화, 화엄, 유마경 등 각 경전속에.. 더보기 성본 스님의 『선사상사』 중국 선승들의 정신세계와 그 발자취 우리 학자가 정리한 최초의 중국 선 역사 시대-지역배경 숙고해 선의 탄생-성장 체계화 선(禪)은 인도의 요가명상에서 발원했지만 오늘날 우리가 말하고 있는 선사상은 중국에서 형성된 것이다. 특히 조사선과 간화선으로 이어지는 중국의 선사상은 중국인들의 사유와 문화 풍토 아래에서 완성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선의 발생과 기원, 전개와 형성, 그리고 인도와 중국선의 발자취를 사상사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이 성본스님의 『선사상사(禪思想史)』〈사진〉이다. 이 책은 고대 인도문명에서 기원하고 있는 요가(선)와 『리그베다』, 『우파니샤드』, 『바가바드 기타』 등 인도철학에 나타난 요가 명상법을 비롯하여, 초기불교시대 붓다의 명상법과 선정사상, 부파불교, .. 더보기 불교사상 관통하는 승찬의 〈신심명〉 불교사상 관통하는 승찬의 〈신심명〉 〈신심명〉, 깨달음의 정수 기록 달마선의 기본사상 바탕으로 여래장과 반야, 남방 현학 융화 도교의 ‘자연회귀’까지 담아 〈신심명(信心名)〉은 3조 승찬 대사의 저술로서 깨달음의 정수를 기록한 것이다. 〈신심명〉은 중국 초기 선종의 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승찬 개인의 업적으로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신심명〉의 내용은 전체적인 불교의 사상을 관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도교의 자연회귀사상까지도 담아내고 있다. 또한 우리들은 〈신심명〉을 통해서 3조 승찬의 선의 경지를 엿볼 수 있다. 〈신심명〉과 유사한 이름의 우두종 법융선사의 저작으로 〈신명(信銘)〉이 있다. 물론 한편에서는 〈신심명〉이 승찬이 지은 것이 아니라는 설도 있다. 3조 승찬대사.. 더보기 조사선의 의미와 흐름 조사선의 의미와 흐름 깨달음의 그 자리는 어떤 성인도 전할 수 없는 것이니 억지로 깨닫고자 하는 사람은 물속의 달을 건지려는 원숭이와 같다. 조사선이란 깨달음을 완성한 모든 조사들이 본래 이루어져 있는 깨달음의 세계를 바로 눈앞에서 들어 보인 법문이다. 말길과 생각의 길이 끊어지고 스스로가 본래부처임을 명확히 알아서 어디에도 걸리지 않는 자유자재한 삶을 누리게 된다. 즉 법계의 참모습이 그대로 드러난다는 것이다. 가섭존자의 삼처전심이 바로 그것이라고 말하게 된다. 조사선을 실질적으로 정착시키신 분은 육조 혜능스님으로 돈오견성을 천명하셨다. 또한 혜능스님의 선법을 확고히 다지신 분이 하택 신회스님이다. 오조,홍인으로 부터 1. 대통 신수선사 - 보적(북종선의 점수법) 2. 육조 혜능선사 - 신회(남종선의 .. 더보기 선(禪)의 기원과 전개 1. 선(禪)의 기원 ‘선은 고대 인도의 명상법인 요가(yoga)에서 비롯되어 붓다의 명상과 정각(正覺)을 통하여 새로운 불교의 실천 수 행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요가의 기원은 B. C 3000년 경 고대 인도의 원주민들에 의해 실시되었다. 따라서 요가 명상인 선(禪)은 약 5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요가라는 말은 사유(思惟) 혹은 명상(冥想)이라는 의미인데 ‘명상을 통하여 오감(五感)을 제어하고 산란한 마음을 정지시키는 것, 즉 모든 감각기관을 움직이지 않고 집중(執中)하여 마음을 통일시켜 적정상태에 머무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요가는 삼매(三昧, sama-dhi), 선 나(禪那, dhya-na)라는 말로 쓰이기도 하는데, 불교에서는 선나(禪那)로 사용되어 오다가 선(禪)이.. 더보기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