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밀교

인도 밀교 50.(오옴과 자륜관) "자륜은 우주진리의 음성·성불의 종자"​ (오옴과 자륜관) "자륜은 우주진리의 음성·성불의 종자" ​ 고대의 인도인들은 자연계의 구성요소나 자연현상, 그리고 이들의 근원으로 여겨지는 지배력 등을 신격화하였다. 그 대표적인 것들로 천지의 신 디야바 프리티비, 태양의 신 수리야, 여명의 신 우샤스, 폭풍의 신 루드라, 바람의 신 바유, 불의 신 아그니 등이 있다. 이와 함께 추상적인 관념들도 신격화하고 있는데, 신념의 신 슈라다, 격정의 신 마뉴, 무한의 신 아디티, 계약의 신 미트라, 언어의 신으로 바츠 등이다. 이 가운데 언어 신 바츠가 신으로 숭배되었다는 것은 소리가 내지는 자음에 대한 고대 인도인들의 생각을 대변해준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인도에서 소리와 자음에 대한 숭배는 그 역사가 오래 되었다. 인도인들이 숭배했던 대표적인 소리는 그 .. 더보기
인도, 그리고 불교(48) 인도, 그리고 불교(48) (의례와 밀교)깨달음 얻기 위한 행법으로 수용돼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이다. 그러므로 브라만교에서 행해지는 공희(供犧)나 푸자(puja)로 불리는 의례는 거부되었다. 공희는 인도에서 오래 전부터 행해오던 불의 제사(火祭)였다. 제단을 쌓은 다음 불을 피우고, 여기에 제물을 던져 넣는다. 제물은 연기와 함께 하늘로 올라가서 신들에게 바쳐진다고 생각하였다. 바라문들은 이 제사를 주술의 세계 속에 정립시켰다. 제물을 바치고 신들의 은혜를 기원하는 현세구복적인 의식인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신들에게 존경과 공물을 바치고 이로써 그 대가를 얻는 것이었다. 당시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중요한 재산이었던 소나 양 등 동물의 피와 고기를 제물로 바치기도 하였다. ​ 그러나 사문들이 주축이 된 새로운.. 더보기
밀교의 성립과 역사 밀교의 성립과 역사 1. 밀교의 성립과 역사 ‘밀교(密敎)’는 ‘비밀불교(秘密佛敎)’를 줄여 부른 말인데, 깨달음을 위한 수행도로서의 밀교를 진언승(眞言乘), 또 는 진언문(眞言門)이라고도 한다. 또한 밀교를 표현하는 다른 용어로는 금강승(金剛乘), 구생승(俱生乘), 시륜승(時 輪乘) 등이 있다. 서양에서는 밀교를 딴뜨릭부디즘(Tantric Buddhism), 또는 불교딴뜨라(Buddhsit Tantra) 등 으로 부르는데, 이것은 8, 9세기경 인도의 후기 밀교시대에 성립된 밀교경전을 딴뜨라(Tantra)라고 부른 데서 비 롯된 것이다. 흔히 불교딴뜨라를 좌도밀교(左道密敎)라고 오해하는 학자들도 있는데, 좌도는 힌두딴뜨리즘 가운데 샤끄따파를 가리키는 것으로 불교의 범주인 밀교와 전혀 관련이 없다. 밀교.. 더보기
밀교와 정토신앙 1. 밀교와 정토신앙 ①밀교와 정토신앙 밀교와 미타정토(彌陀淨土)는 인도에서 대승불교운동의 양대 소산으로서, 그 성립 당시부터 서로 무리없이 교섭될 수 있는 역사적 배경과 사상적인 조건 속에서 출발되었다. 그러므로 고려시대 법화신앙과 미타신앙을 주축으로 하여 백련사(白蓮社)를 결사하고 천태종풍(天台宗風)을 크게 떨쳤던 요세(了世)는 매일의 일과로서 준제주송(准提呪誦) 1,000편과 미타염불 1만 번을 하여 수행을 하였다. 이러한 요세의 수행을 통하여 천태사상과 밀교와 정토신앙이 서로 무리 없이 접근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밀교의 진언과 정토의 염불이 외형적으로는 무리 없는 접근으로 파악되지만, 그것이 개인적 깨달음의 내용에서는 접근이 아닌 원융성(圓融性)으로 승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요.. 더보기
밀교[ Esoteric Buddhism ] / 별전 밀교[ Esoteric Buddhism ] / 별전 목차 1. 정의와 분류 1) 밀교의 정의 2) 밀교 성립시기에 의한 분류 3) 밀교 경전의 분류방식 2. 역사와 발전단계 1) 밀교성립의 배경 2) 밀교의 전파 3. 성립과 교리, 수행원리 1) 밀교의 교리 2) 밀교의 수행 4. 한국의 밀교 1) 신라시대의 밀교 2) 고려시대의 밀교 3) 조선시대의 밀교 5. 주요 용어와 관련 직업군 1) 주요 용어 2) 관련 직업군 1. 정의와 분류 1) 밀교의 정의 국립 중앙 박물관에 있는 반가사유상 밀교(密敎, esoteric buddhism)는 붓다의 비밀한 깨달음의 세계를 진언(眞言)을 비롯한 다라니(陀羅尼, dhāraṇī), 도상(圖像), 만다라(曼茶羅, maṇḍala), 의례 등의 소재를 통해 드러낸 불교.. 더보기
밀교[ 密敎 ] / 외전 밀교[ 密敎 ] / 외전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불국사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의 다라니경. 국보 제126호. 불교중앙박물관 소장. 너비 8㎝, 전체 길이 약 600㎝의 두루마리로 된 다라니경권으로 우리 나라 최고의 목판 인쇄물이다. 목차 정의 개설 신라 밀교 승려들의 활약과 전래교법 오대산신앙(五臺山信仰) 사리탑신앙(舍利塔信仰) 고려 왕실의 밀교신앙과 보호정책 총지종(摠持宗)과 신인종(神印宗) 밀교의식과 행사 조선 특성 밀교와 정토신앙 밀교와 선 정의 부처의 깨우친 진리를 직설적으로 은밀하게 표출시킨 대승불교의 한 교파. 개설 밀교는 대승불교의 한 분야로 7세기 경 인도에서 성립되었다. 밀교가 성립될 당시의 인도불교는 부파불교시대(소승불교시대)로서 실천보다는 전문적 이론과 승려중심의 경향이 매우.. 더보기
밀교[ 密敎 ] 밀교[ 密敎 ] 요약 현교(顯敎)에 대한 대칭어. 대흥선사 천왕전 비밀불교(祕密佛敎) 또는 밀의(密儀)종교의 약칭. 진언(眞言)밀교라고도 하는데, 일반의 불교를 현교(顯敎)라 하는 것에 대한 대칭어이다. 밀교는 7세기에 대승불교의 화엄(華嚴)사상 ·중관파(中觀派) ·유가행파(瑜伽行派)사상 등을 기축으로 하여 인도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하였다. 보통 밀교는 미신적인 주술(呪術) 체계로서, 성력(性力:sakti)을 숭배하는 타락된 불교로 인식되고 있으나, 그것은 힌두교의 탄트라(tantra) 신앙과 결합되어 말기에 나타난 좌도밀교(左道密敎)를 가리킬 따름이다. 정통적인 밀교사상은 개체와 전체의 신비적 합일(合一)을 목표로 하며, 그 통찰을 전신적(全身的)으로 파악하는 실천과 의례(儀禮)의 체계를 갖는다. 밀교.. 더보기
정착기의 신라 밀교 구법 연구활동 정착기의 신라밀교 구법연구활동 신라불교가 정착기에 접어들면서 내적으로는 경전의 연구가 진행되고, 외적으로는 구법활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인도와 당나라로 구도의 길을 떠나는 유학승려들이 나타났으며, 일부에서는 일본에 불법을 전하기도 하였다. 그 때 원효, 의상, 경흥, 태현 등은 경전을 연구하여 방대한 양의 저술을 남겼고, 혜업, 현태, 구본, 현락, 혜륜 등은 인도로 구법의 길을 떠났다. 또한 의상, 원측, 도증, 승장, 신방, 무상, 지장, 무루 등은 당나라에 유학하여 불법을 연구하고 귀국하거나 그곳에 머물면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그 중에서 무상은 우리 나라 사람으로는 최초로 티베트불교의 지도자들과 접촉하였고, 지붕, 지만, 지웅, 번상을 비롯한 여러 승려들이 일본에 불법을 전하였다. 그와 같은 시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