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작시

제4시집 <방랑자의 노래> 시인의 후기 1

제4시집 <방랑자의 노래> 시인의 후기 1

 

내 시의 샘물은 붓다의 가르침이다. 붓다의 샘은 마르지 않는 샘을 닮아 시집 4집을 내면서 잠시 물갈이를 위해 마음껏 퍼냈다. 남는 것은 사성제와 팔정도, 십바라밀만 남았다. 더 깊이 퍼내는 것은 붓다의 가르침을 공부해오면서 느낀 의문에 대한 합리적 예의가 아니다. 뜬금없이 합리성을 내세우는 이유는 나의 두뇌는 형이하학적 경계와 방향에 속해 있는 까닭이다. 더 이상 붓다의 가르침에 대한 의문과 비판 속에서 살기에는 내 여명餘命은 짧다. 불교는 종교가 아닌 철학이라는 신념에 변함이 있을 수 없으므로 나의 사유에 따른 시에 철학적 색채를 지우고 싶지 않다. 훌륭한 스승과 함께 올바르게 수행하는 도반들이여, 잘들 지내시라. 변하지 않는 것은 없는 까닭에 내 갈 길은 나도 모른다. 온 길을 모르므로 어디로 가서 무엇이 될 런지는. 이번 시집을 내면서 오래 괴롭힌 소회는 여러 생을 거쳐 묵은 업장業障과 태어난 이후 한 번도 닦아본 적이 없는 훈습熏習은 손대기에 엄두가 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혼자만의 명상센터에서 처음 꿈에 나타난 붓다가 사무치게 그리운 것은 지나온 삶에 대한 업장의 기억을 잊고 싶지 않아서다. 다만 풀어드려야 할 한 가지, 호가 도봉道峯인 것은 내가 살아온 곳이 항상 도봉산을 볼 수 있는 곳이었으므로 지인들이 붙여준 별호別號일 뿐, 도道의 봉오리가 아닌 좁아서 서러운 오솔길 위에 약간 솟은 돌부리임을 밝힌다. 발에는 눈이 없으므로 가시는 길 간혹 발아래를 보기도 하면서 작은 돌부리에라도 채이지 않도록 조심하시라. 회광반조 조고각하(廻光返照 照顧脚下).

 

불수위위지 수처작주 입처개진不隨萎萎地 髓處作主 入處皆眞. ‘아무리 어려워도 내가 서 있는 곳이 내가 주체가 되는 모두 참된 자리이다’라는 말이다. 존경하는 도반의 마음자리 안에 틀고 있는 임제의 경구다. 저자는 ‘극락에 가려하지 말고 네가 극락이 되어라, 깨달은 자를 존경하기보다 네가 깨달아라’ 등의 해석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