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

나락奈落 나락奈落 본 뜻 산스크리트어 ‘나라카(naraka)’에서 온 말로 지옥을 뜻하는 불교용어다. 바뀐 뜻 본뜻 그대로 지옥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구원할 수 없는 마음의 구렁텅이를 가리키는 말로도 널리 쓰인다. 보기글 ㆍ한없이 나락으로 떨어지는 내 마음을 어찌해야 좋을지 모르겠다. ㆍ자네, 그렇게 노름을 좋아하다간 필경 나락으로 떨어지고 말 것이네. 더보기
세계각국 불교학 연구현황(1)-일본 세계각국 불교학 연구현황(1)-일본 과거에는 불법을 배우기위해 우리나라 승려들은 인도나 중국으로 유학을떠났다. 그러나 지금은 불교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일본을 비롯 영국프랑스등 세계각국으로 유학을 가고 있다. 불교학연구는 이미 인도 중국을 떠나 세계각국에서 연구되어지고 있다. 현재는 역으로 불교학을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식민지정책 이후 전개된 세계각국 불교학 연구 업적과 연구현황을 알아본다. 불교학문의 메카는 어느나라인가. 국내의 불교학자들은 부끄럽지만 일본이라고 말하고 있다. 현재 일본에는 불교학을 배우려는 각국의 유학생들이몰려오고 있으며, 불교학자가 되기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일본유학을 거쳐야 하는 나라도 있다.또한 불교학을 전공하기 위해서는 일본어를 필수로 해야 된다. 이같은 이유는 일본의 불교학 .. 더보기
불교와의 만남 / 불자가 나아갈 길 제1장 불교와의 만남 / 불자가 나아갈 길 1. 종교란 무엇인가? *종교의 의미: 입능가경의 '싯단타 데사나'를 번역한 말. 부지런함, 성실함, (기독교) 재결합하다. 종-궁극적인 진리, 교-가르침/ 불교- 부처님이 깨우친 궁극적인 진리의 가르침 종교의 구성요소: 이론적 요소- 교리와 사상, 실천적 요소- 종교의식, 포교활동, 봉사활동, 사회적 요소-종교집단(교단) 종교의 분류: 에리히 프롬- 전제주의 종교와 인본주의 종교(불교) 종교의 윤리적(실천적)기능- 사랑(기독교), 자비(불교), 仁(유교) *학자들이 말하는 종교/ 불교 알버트 아인슈타인- 우주적 종교가 되어야, 자연세계와 영적인 부분의 통합, 현대의 과학적 요구에 상응하는 종교를 꼽으라고 한다면 그것은 불교. 칼 구스타프 융- 비교종교학도로서 .. 더보기
탈종교화시대, 불교의 희망은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탈종교화시대, 불교의 희망은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지난 연말 통계청이 발표한 종교인구 통계는 불교계에 적지 않은 충격을 주었습니다. 불교신도수가 자그만치 3백여 만 명이나 감소하면서 1위 종교자리를 개신교에 내주고 말았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탈종교화 현상을 그 이유로 꼽고 있습니다. 전체 종교인구가 10년전 통계청 조사결과보다 3백여 만 명이 줄어든 것도 비슷한 맥락입니다. 10년간 인구증가분 3백 만 명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더 많은 종교인구가 줄어든 셈이어서, 이제 한국사회도 본격적으로 탈종교화 시대에 접어들었음을 보여줍니다. 보통 서구사회에서의 탈종교화 현상은 기독교인구가 큰 폭으로 줄어들고, 신자들이 교회에 나가지 않는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전형적인 가톨릭 국가인 프랑스에서는 교회에 나가.. 더보기
생활 속에서 재해석한 ‘불교 교리서’ 불교를 안다는 것 불교를 한다는 것 광주 증심사 주지 스님 코로나19로 사찰 못 오는 이들에게 보내는 법문집 “불교는 머리로가 아니라 몸으로 익히는 끝없는 복습” “안다고 해서 인생이 바뀌지 않는다. 불교가 위대한 종교인 이유는 아는 데 있는 게 아니고, 내가 스스로 체험하고 스스로 깨치는 데 있다. 나는 무엇인가에 대해 스스로 고민하고 스스로 체험하고 스스로 깨쳐야만 그것이 불교다.” 20대 내내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에 전념했고, 30대에 프로그래머로 변신해 고려대장경 전산화 작업에 참여하다 출가한 뒤 봉암사, 송광사, 화엄사, 석종사 등 제방선원에서 정진한 중현스님. 현재는 광주 무등산 증심사 주지로 살며 유튜브 채널 ‘증심사’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 있는 스님이 코로나19로 사찰에 오지 못하는 이들에.. 더보기
아스카 백제 문화를 찾아서 : 14. 백제 문화의 결정판 아스카사(飛鳥寺) 아스카 백제 문화를 찾아서 : 14. 백제 문화의 결정판 아스카사(飛鳥寺)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했던 소아마자도 마지막으로 꼭 넘어야 할 장애물이 있었다. 소가씨 집안이 조상 대대로 대신(大臣) 벼슬을 물려 받은 것처럼 가야계 도래인인 물부 집안은 대신 바로 아래 계급인 대련(大連) 벼슬을 물려 받아온 세력가였다. 더구나 물부수옥(物部守屋) 대련은 소아마자의 처남이었다. 무슨 원한이 그리 깊어서 처남 매부가 생사를 걸고 싸워야만 했을까? 그 이유를 알려면 물부씨 조상으로 거슬러 올라가야만 한다. 물부씨의 조상 여지(余旨, 니가, 하야시)는 한반도 가야의 도래인으로 규슈 북동지역에 나라를 세웠다가 야마도로 진출한 집안이었다. 그들은 자신의 조상신을 비롯한 180신을 모시고 살아 왔다. 야마도에서는 천황등극.. 더보기
세계 최초의 대학 날란다의 불교교육 전통 바라나시의 티베트국립대학교로 계승 세계 최초의 대학 날란다의 불교교육 전통, 바라나시의 티베트국립대학교로 계승 “내 나라는 하늘 끝 동쪽에 있고/ 이 나라는 땅 끝 서쪽에 있네./ 해가 뜨거운 남쪽에는 기러기가 없으니/ 누가 내 고향 계림으로 소식을 전하리오.”(‘왕오천축국전’) 신라의 승려 혜초는 8세기에 인도로 불교 성지순례를 다녀온 후 ‘왕오천축국 전’을 남겼다. 인도는 불교성지로서 예나 지금이나 신자들이 꼭 방문하고 싶어 하는 부처님의 나라다. 그런 인도에서 불교의 가르침을 가장 심도 있게 교육하는 곳으로 날란다대학이 꼽힌다. 날란다는 세계 최초의 대학으로도 유명하다. 대학교육이 발 달한 서양이 아니라 동양에서, 더욱이 불교대학의 형태로 연구와 논의, 강의의 열기가 가득한 고도의 교육기관이 개화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해외 .. 더보기
지장 신앙 지장 신앙 / 정병삼 지장보살도 지장보살은 석가가 입멸하고 나서 미륵이 출현하기까지의 부처가 없는 혼탁한 말법 시대에 석가의 부촉을 받아 곳곳마다 몸을 나타내어 하늘에서 지옥에 이르는 모든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바람을 세운 보살이다. 지장 신앙은 특히 지옥까지 구제한다는 점에서, 망자 구제 신앙으로 폭넓은 기반을 이룰 수 있었다. 지장 신앙의 근본 경전은 『대승대집지장십륜경(大乘大集地藏十輪經)』·『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점찰선악업보경(占察善惡業報經)』 등이다. 신라의 지장 신앙은 진표에게서 가장 두드러진 모습을 볼 수 있다. 8세 기에 활동한 진표는 출가하여 진정한 계를 얻기를 원하여 명산을 두루 찾아다닌 뒤 부안 지방의 선계산 부사의암에서 몸을 던지는 망신참의 수행에 의해 지장보살의 청정한 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