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붓다 이야기

[스크랩] 유식30송 강의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 제 1 송 由假說我法 有種種相轉 (유가설아법 유종종상전) 彼依識所變 此能變唯三 (피의식소변 차능변유삼) (유식은) 아(我)와 법(法)을 가설함으로 말미암아 가지가지 현상계가 변화하는 이치를 설명한 것이다. 저 (가지가지 현상계)는 의식에 의해 변하고 이 변화.. 더보기
불전결집(佛典結集) 불전결집(佛典結集) 불전결집이란 경전편찬회의라고 할 수 있다. 특정한 시기에 특정한 장소에서 자격을 갖춘 사람들이 모여 부처님 가르침을 종합하고 정리하는 편집과정을 말한다. 결집은 확인된 부처님 가르침을 참석자들이 이구동성으로 합창하는 절차를 거쳐 만장일치로 불설(佛.. 더보기
진공묘유(眞空妙有) <진공묘유(眞空妙有)> 카일라스산 1. 공(空) 개념의 등장 ‘공(空)’이라는 용어의 산스크리트어 원어는 ‘sunya’라는 형용사로서 ‘속이 텅 빈’, ‘부풀어 오른’, ‘공허한’ 등의 뜻을 가졌고, 명사 ‘sunyata’라는 용어는 공한 것, 공성(空性), 영(零)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결국 .. 더보기
여래장(如來藏) <여래장(如來藏, 산스크리트어 tath?gata-garbha)이란> 여래장(如來藏)이란 산스크리트어 타타가타가르바(Tath?gatagarbha)를 의역한 것으로, ‘여래’와 ‘장’으로 이루어진 합성어다. 타타가타(Tath?gata), 즉 여래란 말은 ‘이렇게 오신 이’, ‘깨달음을 이루신 이’, 곧 부처라는 뜻이고, 가.. 더보기
<관(觀)> &lt;관(觀)&gt; 불교에 있어서 ‘관(觀)’의 의미는 특별하다. 단순히 ‘본다’는 차원을 넘어서 보고, 듣고, 공감하고, 심지어 겉으로 드러난 것을 초월해 본질과 핵심을 꿰뚫어본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리고 들고나는 생각을 마음 한자리에 놓고, 무(無)의 상태로 집중해, 산란을 멈추고.. 더보기
中道 &lt;중도(中道, madhyam?-pratipad)&gt; 용수보살 1. 중도(中道, 산스크리트어 madhyam?-pratipad, 팔리어 majjhima patipada)란 중도(中道)는 AD 3세기 초반 용수(龍樹, Nagarjuna)에 의해 제기된 사상으로 중로(中路)라고도 하는데, 분별지(分別智)에 의한 인간의 극단적인 사고(思考)와 그에 의해서 이루어진 판.. 더보기
<용수(龍樹)의 중관사상(中觀思想)> &lt;용수(龍樹)의 중관사상(中觀思想)&gt; 용수보살 1. 용수(龍樹, Nagarjuna)에 대해 용수의 생몰연대는 확실치 않다. 다만 고대 남인도에 있었던 사타바나(Satavahana) 왕조의 가우타미푸트라 샤타가르니(Gautamiputra Satakarni)왕이 용수의 친구이자 후원자였던 점을 미루어보면, 불멸 후 6~7백년 경에.. 더보기
煩惱卽菩提(번뇌즉보리) 煩惱卽菩提(번뇌즉보리) 번뇌 그대로가 곧 보리라는 것. 생사 즉 열반과 함께 쓰는 말. 중생의 미견(迷見)으로 보면 미망(迷妄)의 주체인 번뇌와 각오(覺悟)의 주체인 보리가 딴판이지만 깨달은 눈으로 보면, 두 가지가 그대로 하나이어서 차별이 없는 것. 그러나 두 가지가 하나이고 차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