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붓다 이야기

「불설과 비불설」논쟁-6 니까야 친설 논쟁, 학계 달구다 「불설과 비불설」논쟁-6 니까야 친설 논쟁, 학계 달구다 니까야 친설 논쟁, 학계 달구다 권오민 교수 “니까야도 불설일 뿐 친설 아니다” 마성 스님 “상좌부 전통 이해부족이 부른 오해” 본지 통해 양보없는 주장·반박 한달째 이어져 학계 “한국불교의 정체성 모색 계기될 것” 평가 기사등록일 [2009년 08월 31일 15:21 월요일] 권오민 교수(왼쪽), 마성 스님(오른쪽). 초기불교 경전이라는 아함이나 니까야를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권오민 경상대 철학과 교수의 주장과 팔리문헌연구소장 마성 스님의 반론이 본지에 이어지면서 교계의 지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최근 남방불교 경전인 니까야와 남방수행법인 위빠사나가 국내에 급격히 확산되는 가운데 이번 논쟁이 단순한 ‘경전관’을 넘어 한.. 더보기
「불설과 비불설」논쟁-5 권오민 교수, “니카야만 불설 주장은 맹목일 뿐” 「불설과 비불설」논쟁-5 권오민 교수, “니카야만 불설 주장은 맹목일 뿐” 권오민 교수, “니카야만 불설 주장은 맹목일 뿐” 권오민 교수 마성 스님에 다시 반론 사람에 의지 말고 법에 의지하라는 게 불교 니카야가 곧 부파…상좌부 사대주의 버려야 기사등록일 [2009년 08월 27일 11:13 목요일] 권오민 경상대 철학과 교수는 최근 「문학/사학/철학」(제17호)에서 초기경전으로 일컬어지는 아함경과 니카야 또한 대승경전과 마찬가지로 붓다의 친설로 볼 수 없다는 파격적인 주장을 펼쳤다. 이런 가운데 팔리문헌연구소장 마성 스님은 대승경전이란 붓다의 가르침을 재해석해 불설로 가탁한 것으로 붓다의 친설이 담긴 아함과 대승경전은 전혀 다르다고 비판했다. 이에 권오민 교수는 다시 아함과 니카야 또한 설일체유부 등 .. 더보기
「불설과 비불설」논쟁-4 마성 스님 “니까야 부정은 곧 불교사 몰이해” 「불설과 비불설」논쟁-4 마성 스님 “니까야 부정은 곧 불교사 몰이해” 마성 스님 “니까야 부정은 곧 불교사 몰이해” 마성 스님, 권오민 교수에 재반론 니까야는 상좌부서 2500년 간 계승한 경전 계율과 교단사 외면해 스스로 모순에 봉착 기사등록일 [2009년 08월 21일 23:13 금요일] 권오민 경상대 철학과 교수는 최근 「문학/사학/철학」(제17호)에서 초기경전으로 일컬어지는 아함경과 니까야 또한 대승경전과 마찬가지로 붓다의 친설로 볼 수 없다는 파격적인 주장을 펼쳤다.(본지 1008호 1면) 이런 가운데 팔리문헌연구소장 마성 스님은 대승경전이란 붓다의 가르침을 재해석해 불설로 가탁한 것으로 붓다의 친설이 담긴 아함과 대승경전은 전혀 다르다고 비판했다.(본지 1009호 19면) 이에 권오민 교수는.. 더보기
「불설과 비불설」논쟁-3 권오민 교수, “아함도 부파가 승인한 불설일 뿐” 「불설과 비불설」논쟁-3 권오민 교수, “아함도 부파가 승인한 불설일 뿐” 권오민 교수, “아함도 부파가 승인한 불설일 뿐” 마성 스님 논평 조목조목 반박 니카야는 상좌부-잡·중아함은 유부 경전 마성 스님 비평은 학문보다 상식 기댄 것 기사등록일 [2009년 08월 17일 11:50 월요일] 권오민 경상대 철학과 교수는 최근 「문학/사학/철학」(제17호, 한국불교사연구소 발행)에서 대승경전을 불설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은 불교사상사에 대한 무지와 폐쇄적인 신념에 기초한 것일 뿐 교학적·역사적 ‘진실’이 아니며, 아함경과 니카야 또한 붓다의 친설로 볼 수 없다는 파격적인 주장을 펼쳤다. (본지 1008호 1면) 이런 가운데 팔리문헌연구소장 마성 스님은 대승경전이란 붓다의 가르침을 재해석해 불설로 가탁한 것.. 더보기
「불설과 비불설」논쟁-2 마성 스님, “붓다 친설 담긴 아함과 대승경전은 ‘딴판’” 「불설과 비불설」논쟁-2 마성 스님, “붓다 친설 담긴 아함과 대승경전은 ‘딴판’” 마성 스님, “붓다 친설 담긴 아함과 대승경전은 ‘딴판’” 대승경전은 붓다 가르침 재해석해 불설 가탁 대승의 아함 비난은 가짜가 원조 주장하는 격 기사등록일 [2009년 08월 10일 11:53 월요일] 권오민 경상대 철학과 교수는 최근 「문학/사학/철학」(제17호, 한국불교사연구소 발행)에서 대승경전을 불설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은 불교사상사에 대한 무지와 폐쇄적인 신념에 기초한 것일 뿐 교학적·역사적 ‘진실’이 아니며, 아함경과 니카야 또한 붓다의 친설로 볼 수 없다는 파격적인 주장을 펼쳤다.(본지 1008호 1면) 이런 가운데 팔리문헌연구소장 마성 스님이 권오민 교수의 주장을 반박하는 글을 보내왔다. 편집자 최근 경.. 더보기
「불설과 비불설」논쟁-1 권오민 경상대 교수, “대승 불설 부정은 ‘무지’ 탓” 「불설과 비불설」논쟁-1 권오민 경상대 교수, “대승 불설 부정은 ‘무지’ 탓” 권오민 경상대 교수, “대승 불설 부정은 ‘무지’ 탓” 경상대 권오민 교수, ‘문사철’서 주장 “아함경·니카야도 붓다 친설 아니다” 부파 시대에도 진위논쟁 끊이지 않아 불설 기준은 역사․전통 넘어선 ‘法性’ 기사등록일 [2009년 07월 27일 17:31 월요일] 최근 아함경과 니카야를 부처님이 직접 설한 경전으로 간주하거나 이들 경전을 근거로 초기불교로 돌아가자는 얘기들이 공공연히 나오는 가운데 아함경과 니카야도 붓다의 친설로 볼 수 없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대승경전을 불설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은 불교사상사에 대한 무지와 폐쇄적인 신념에 기초한 것일 뿐 교학적·역사적 ‘진실’이 아니라는 지적도 함께 제기됐다. 부파불교.. 더보기
부처님의 십대제자-지혜제일 사리불 ① 부처님의 십대제자-지혜제일 사리불 ① ▲ 사리불의 아름다운 어머니 사리와 총명한 아버지 티샤 그리고 사리불의 외삼촌 구치라의 젊은 시절 모습이다. 구치라가 만삭의 누나에게 장차 태어날 조카가 훌륭한 인물이 될 것이라고 말해주고 있다. 세른 세 살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예수님의 제자는 12명이었다. 예수님의 첫 번째 제자 어부 베드로와 배신자 유다의 이름은 알면서도 정작 부처님의 제자들에 대해서는 별로 아는 바가 없다. 부처님은 서른다섯에 깨달음을 얻은 이후 여든의 나이로 열반에 이를 때까지 장장 45년에 이르는 긴 세월 동안 신분의 귀천이나 장소를 가리지 않고 진리에 이르는 길을 가르치셨다. 그리하여 부처님께 귀의한 후 생사를 벗어나 사과(四果)를 이룩하고 최고의 경지인 해탈을 성취한 아라한이 무려.. 더보기
붓다 출현 그리고 ‘불교’의 문명사적 의의: 귀환과 출가 화쟁아카데미·시민행성 조성택 교수(고려대) 3강 붓다 출현 그리고 ‘불교’의 문명사적 의의: 귀환과 출가 “나는 신도 인간도 아니다 나는 붓다이다” 붓다는 깨달아 변화된 존재 이성적 지식으로 바라보면 부처님 왜곡·본질 놓칠 우려 ▲ 조성택 교수는 … 1957년 부산에서 출생했다. 고려대 영문과를 졸업한 뒤 동국대 대학원에서 인도철학을 전공했으며, U.C 버클리에서 인도 초기 대승불교의 성립에 관한 연구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5년 9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스토니부룩 뉴욕주립대학 비교종교학과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2002년 3월부터 현재까지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계간 〈불교평론〉, 한국학술진흥재단(현 한국연구재단) 인문학 단장,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부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