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 썸네일형 리스트형 혜각 신미의 법맥과 훈민정음에 끼친 영향 혜각 신미의 법맥과 훈민정음에 끼친 영향 제1장 1. 한국 선불교의 전래 1) 구산선문과 선법 2) 득도사와 사법사 문제 2. 보조의 한국선 형성 1) 구산산문을 조계종으로 융섭 2) 고려 말 전등 관계 3) 태고의 통합구간 선풍 4) 세조의 간경도가뫄 신미 3. 나옹계의 득세와 그 법손 1) 고려 말 나옹과 환암 2) 환암혼수의 법계문제 제2장 1. 조선 건국과 숭유억불 사대교린 1) 사라진 함허의 전통법계 2) 사찰혁파와 불교의 전락 2. 세종의 훈민정음과 신미 1)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 이유 2) 훈민정음 창제 이유 3) 신미가 주역이 된 이유 3. 신미의 전등 법계 고찰 1) 함허를 잇는 신미 2) 해안에 의한 법계 정리 제1장 1. 한국의 선불교 전래 한국불교는 선종과 교종에 관한 양종의 고.. 더보기 元曉의 淨土往生信仰의 敎學的 根據와 特色 元曉의 淨土往生信仰의 敎學的 根據와 特色 정 태 혁* (한국정토학회 회장, 동국대학교 명 Ⅰ. 머 리 말 원효의 교학에 대해서는 이에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연구발표된 바 가 있다. 그의 많은 저서를 통해서 알 수 있는 원효의 교학체계는 너무도 다 양하다. 그것은 대승불교의 정수를 꾀 뚫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원효의 다양하고 심오한 불교적 이해가 그의 교학으로 나타나서 그 의 사상을 이루었고, 그것이 정토왕생의 신앙으로 나타나 있는 것 이다. 따라서 원효의 정토왕생 신앙은 원효의 삶의 목적이요 도정이며 삶 의 전체인 것이다. 그의 삶, 그의 신앙이 대승불교 그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그의 교 학이나 신앙은 신라인의 인생관, 세계관을 이루게 했고, 신라를 거 쳐서 고려나 이조시대의 우리 조상에게 이어졌고.. 더보기 지눌(知訥) 보조국사(普照國師) ◈ 정혜결사문(定慧結社文) 지눌(知訥) 보조국사(普照國師) ◈ 정혜결사문(定慧結社文) 원문-독음-번역문(김원각) 아래의 글은 지눌(知訥) 보조국사(普照國師 1158~1210)의 《권수정혜결사문(勸修定慧結社文)》이다. 이 글의 내용은 당시 출가 수행승들이 수행은 하지 않고 세속적인 타락에 빠져있는 있는 것을 개탄하고, 나아가서 불가의 본분인 선정(禪定)과 지혜(智慧)를 닦아나가자고 호소한 글이다. 이는 당시뿐만 아니라 오늘날 한국 불교의 병폐를 파헤친 것 같아 출가자나 재가자에게 많은 경종을 울려주는 법문이라 하겠다. 선정(禪定)과 지혜(智慧)에 관한 글이기 때문에 정혜결사문(定慧結社文)이란 글 제목인듯 하다. 번역은 시인이자 역경위원인 김원각님의 문장이다. 한마음 미혹해 번뇌 일으키면 중생 한마음 깨달아 묘용 일으키면 부처. 恭.. 더보기 고려대장경의 보존 고려대장경의 보존 -경북대 서수생 교수의 조사보도를 듣고 요즈음 각 日刊紙(일간지)마다 海印寺(해인사) 高麗大藏經(고려대장경) 일부 도난과 아울러 소홀한 管理狀況(관리상황)이 크게 記事化(기사화)되었다. 그 요지는 慶北大(경북대) 師大(사대) 國文科(국문과) 徐首生(서수생)교수의 조사에 의하면 華嚴經板(화엄경판)을 비롯한 12장의 經板(경판)이 없어졌으며, 또 90여장에 걸친 經板(경판)에는 총 60여字(자)의 마멸과 落字(낙자)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나날이 經板(경판)에 벌레가 먹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번 조사에서 十門和(십문화)쟁論(론)과 大覺國師文集(대각국사문집) 등 寺刊本(사간본)도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대저 海印寺(해인사) 高麗大藏經(고려대장경)은 高麗(고려) 高宗(고종)때 江華島(강화도).. 더보기 균여의 周側學(주측학) 2-2 - 인간 이해와 세계 인식의 틀 / 고영석 균여의 周側學(주측학) 2-2 - 인간 이해와 세계 인식의 틀 / 고영석 Framework of Zhou-Zhai in Kyunyeo - 인간 이해와 세계 인식의 틀 - 고 영 섭 (Ko Yeong-seop):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강사 mansan@unitel.co.kr 목 차 1. 인간과 세계를 보는 눈 1.1. 본성(性)과 표상(相)의 융회 1.2. 성스러움(聖)과 속스러움(俗)의 무애 2. 敎判(교판)을 보는 눈 2.1. 균여의 삶과 저술 2.2. 화엄 五敎判(오교판)의 새 해석 2.3. 대승원교에서 同敎(동교)와 別敎(별교) 이해 3. 균여의 주측학 3.1. 橫盡(황진)의 법계 3.2. 竪盡(수진)의 법계 3.3. 周側(주측)의 법계 2.3. 대승원교에서 同敎와 別敎 이해 (동교 · 별교) 법장의 .. 더보기 균여의 周側學(주측학) 2-1 - 인간 이해와 세계 인식의 틀 / 고영섭 균여의 周側學(주측학) 2-1 - 인간 이해와 세계 인식의 틀 / 고영섭 목 차 1. 인간과 세계를 보는 눈 1.1. 본성(性)과 표상(相)의 융회 1.2. 성스러움(聖)과 속스러움(俗)의 무애 2. 敎判(교판)을 보는 눈 2.1. 균여의 삶과 저술 2.2. 화엄 五敎判(오교판)의 새 해석 2.3. 대승원교에서 同敎(동교)와 別敎(별교) 이해 3. 균여의 주측학 3.1. 橫盡(황진)의 법계 3.2. 竪盡(수진)의 법계 3.3. 周側(주측)의 법계 1. 인간과 세계를 보는 눈 종래 우리는 종족(species)을 흔히 '생각하는 인간'(Homo Sapiens)이라고 말해 왔다. 하지만 현대에 와서는 종종 '만드는 인간'(Homo Faber, Man the Maker), 심지어는 '생태학적 인간'(Homo O.. 더보기 선종(禪宗):참선수행으로 깨달음을 얻는 것을 중요시하는 불교종파. 선종(禪宗) 참선수행으로 깨달음을 얻는 것을 중요시하는 불교종파. 조선 세종 때 모든 종파의 폐합에서 남은 두 종파 중의 하나이다. 1424년(세종 6) 예조의 지시에 따라 7종파를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의 두 종파로 폐합할 때, 조계종(曹溪宗)·천태종(天台宗)·총남종(摠南宗) 등 세 종파는 선종이란 이름으로 단일화되었다. 선종은 전국에 18개 사찰 및 4,250결(結)의 전답과 1,970명의 승려를 가지게 되었다. 사찰의 수는 교종과 같았으나 전답(교종 3,700결)과 승려의 수(교종 1,800명)는 교종보다 많은 편이었다. 선종은 흥천사(興天寺)를 도회소(都會所)로 하여 모든 종무(宗務)를 집행하였다. 세종의 종단폐합 이후 성종 때에 척불정책이 심하였으나 양종(兩宗)과 승과(僧科)의 제도는 형식적.. 더보기 ‘전남 최초 유리도가니 출토’ 장흥 천관사 역사 밝혀내다 ‘전남 최초 유리도가니 출토’ 장흥 천관사 역사 밝혀내다 전남지역 최초로 유리 도가니가 최근 출토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장흥 천관사의 역사를 재조명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장흥 천관사(주지 지행스님)는 9월27일 장흥청소년수련관에서 천관사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천관사가 주최하고 민족문화유산연구원이 주관한 학술대회는 ‘천관사의 역사와 성격’을 주제로 전개됐다.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이계표 조선대 사학과 교수가 ‘천관산 천관사의 역사’ 주제 발표를 시작으로, 천관사와 천관보살 신앙(최성렬 조선대 철학과 교수), 천관사와 장보고 대사(장일규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 천관사의 유적과 유물(최인선 순천대 사학과 교수) 등이 각각 발제됐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번 세미나에서는 해상왕이라 일컬어지..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 13 다음 목록 더보기